가. 생물학적 수질 평가
생물학적 수질 평가

수생태계는 다양한 환경조건과 여러 유기물질이 혼합하여 작용하므로, 이화학적 평가만으로 수질을 정확히 판정하기가 어려운 반면에, 수서 생물은 수생태계 내에서 생활사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보내며 장기적인 수환경 변화를 대변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하여 수질 판정이 많이 활용되어진다.

 

[표1. 수질평가 방법의 장단점 비교(노 등, 2003)]

구분 이화학적 방법 생물학적 방법
수질의 반영 제한적 종합적
수질 항목의 상승작용 반영불가능 반영가능
수질항목 평가치의 이질성 나타남 나타나지 않음
과거 오염 영향 추적 불가능 가능
오염영향의 평가 간접적 직접적
평가의 신속성 항목에 따라 다름 신속
오염물질의 정량 직접적 간접적
수서 환경 지표생물종(indicator species)

환경오염 또는 환경을 구성하는 요소의 변동 상황을 평가하는데 이용되는 생물을 환경 지표생물종(indicator species)이라고 한다. 지표생물종은 ① 지역적으로 넓게 분포하고, ② 생태적으로 중요한 그룹을 대표하는 생물이어야 하며, ③ 먹이사슬 내에서 한 위치를 차지하고, ④ 다른 중요한 종들과 연관성이 있어야 하며, ⑤ 채집과 사육이 용이해야하고, ⑥ 유전적으로 안정시켜 균일한 집단으로 이용해야 하며, ⑦ 어떠한 물질의 영향 평가 시 일관된 반응을 보여야 한다.

수생태계 평가를 위해 이용되는 대표적인 생물은 수생식물, 부착조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수서곤충 포함), 어류 등이며, 특히 수체 내에 서식하는 생물상 중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이동거리가 적고 생물종마다 오염물질에 대한 반응이 다양하여 지역적 환경특성을 보이며, 대부분의 하천에 서식하고 개체수가 풍부하며 채집방법이 용이한 특성을 보여 지표생물종으로 많이 이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생물종에 따라 물리․화학적 서식환경, 오염물질에 따른 내성도, 개체군의 유전적 변이 등이 다르기 때문에, 분류학적으로 기준이나 연구가 미흡한 경우 수질평가 시 오류를 가져올 수 있다.

 

[표2. 수서곤충을 이용한 수질 평가의 장단점]

장 점 단 점
  • - 오염물질에 대한 민감성 차이
  • - 오염물질 유입에 대한 빠른 반응
  • - 대부분의 담수생태계(특히 유수생태계)에 풍부하게 존재
  • - 채집이 용이하고 보편성이 높음
  • - 상대적으로 낮은 이동성으로 지역환경의 대변 가능
  • - 군집 내에서 서로 다른 기능 수행
  • - 다양한 영양단계
  • - 서식처의 미소한 환경 변화에 대한 즉각적인 반응
  • - 오염물질과 다른 환경요인 사이의 효과 판별의 어려움
  • - 생활사(life history)가 복잡
  • - 계절 및 시기별 차별화된 분석 방법 필요
  • - 높은 공간적 이질성
  • - 충분한 반복 조사 필요

나. 환경지표종의 종류
수질에 따른 환경지표종 종류

(1) 청정 하천 지표종

① 한국강도래 (Kamimuria coreana)

강도래목(Plecoptera) 강도래과(Perlidae)에 속한다. 몸길이는 25-30mm 정도이고 몸색깔은 노란색이며 짙은 갈색 무늬를 가진다. 작은 수서 곤충류를 포식하는 2차 소비자로써 산간계류나 청정한 평지 하천의 유속이 빠른 여울의 돌 아래에 서식하는 대표적인 지표생물종이다.

② 뿔하루살이 (Drunella aculea)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알락하루살이과(Ephemerellidae)에 속한다. 몸길이는 15-20mm 정도이며, 머리에 5개의 뿔모양의 돌기가 있고, 앞다리의 넓적다리마디에 날카로운 돌기가 있다. 산간계류나 청정한 평지 하천의 여울에 서식하며, 부착조류나 유기물 등을 긁어먹고 산다.

③ 주름물날도래 (Rhyacophila articulata)

날도래목(Trichoptera) 물날도래과(Rhyacophilidae)에 속한다. 몸길이는 20mm 정도이며, 제 1-8 배마디에 분지된 기관아가미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주로 산간 계류나 청정한 평지 하천의 여울 지역에 서식하며 작은 수서곤충류를 포식한다.

④ 검은머리물날도래 (Rhyacophila nigrocephala)

날도래목(Trichoptera) 물날도래과(Rhyacophilidae)에 속한다. 머리 등면은 전체적으로 짙은 갈색을 띄며 꼬리다리에 덧발톱이나 이빨이 없다. 청정 하천의 여울에 주로 서식하고, 작은 수서곤충류를 포식한다.

그림1 청정하천 지표종
(A: 한국강도래, B: 뿔하루살이, C: 주름물날도래, D: 검은머리물날도래)

(2) 보통하천 지표종

① 강하루살이 (Rhoenanthus (Potamanthindus) coreanus)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하루살이과(Potamanthidae)에 속한다. 몸색깔은 황갈색이나 갈색이며 큰턱돌출기는 머리길이의 2배 이상으로 길게 돌출되어 있다. 주로 하천의 중류나 하류의 유속이 완만한 지점의 하상을 파고 들어가 서식하며 부유물질을 걸러먹는다.

② 넓은물삿갓벌레 KUa (Mataeopsephus KUa)

딱정벌레목(Coleoptera) 물삿갓벌레과(Psephenidae)에 속한다. 몸은 타원형으로 등면에 갈색 반점이 있으며 배마디배판에 부채모양의 4쌍의 아가미술을 가진다. 중류 하천에서 유속이 빠른 지점의 큰 돌 밑에 서식하며, 부착조류 등을 긁어먹고 산다.

③ 동양줄날도래 (Hydropsyche orientalis)

날도래목(Trichoptera) 줄날도래과(Hydropsychidae)에 속한다. 배마디의 배면에 끝이 분지된 기관아가미를 가지며 머리 등면은 검은색이다. 유기물이 풍부한 중류나 하류의 유속이 빠르거나 완만한 지점에서 점액질을 내뿜어 그물(net)을 형성하여 유기물을 걸러먹는다.

④ 뱀잠자리 (Protohermes grandis)

뱀잠자리목(Megaloptera) 뱀잠자리과(Corydalidae)에 속한다. 몸길이는 40-50mm 정도이고, 제 1-8배마디까지 긴 강모열이 있는 부속기를 갖는다. 생물상이 풍부한 하천 중류의 여울 지역에서 하상에 붙어 작은 생물을 포식하는 2차 소비자이다.

그림2 보통하천 지표종
(E: 강하루살이, F: 넓은물삿갓벌레, G: 동양줄날도래, H: 뱀잠자리)

(3) 오염하천 지표종

① 모기류 (Culicidae spp.)

파리목(Diptera) 모기과(Culicidae)에 속한다. 제 8배마디에 호흡관이 있고 그 끝에 한 쌍의 기문이 있으며, 제 9배마디의 등쪽은 안판이 덮여 있고 꼬리아가미를 가진다. 오염물질에 대한 내성이 높아 다른 생물이 서식하지 못하는 도시나 공업지역의 하천에서 우점하여 출현한다.

② 붉은색 깔따구류 (Chironomidae spp. (red-type))

파리목(Diptera) 깔따구과(Chironomidae)에 속한다. 머리와 가슴이 뚜렷하게 구별되고 가슴에 헛발이 있다. 산간 계류에서 오염된 도시하천까지 매우 넓게 분포하나 붉은색을 띄는 깔따구류는 오염지역에서 주로 출현한다. 형태학적 분류의 어려움으로 주로 과(family) 수준에서 분류되나 넓은 분포 범위 및 많은 종 수 및 개체수 등으로 인하여 수질 지표종으로써 가치가 높다.

그림3 오염하천 지표종
(I: 별모기류, J: 붉은색 깔따구류)


다. 생물지수
생물지수(biological index)

생물지수는 하천생태계의 변화 정도 즉, 오염 정도를 그 생태계에 서식하는 지표생물을 이용하여 평가하여 수치로 나타낸 값으로, 유럽에서는 1800년대 중반부터 생물학적 수질 평가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어 다양한 지역에 적합한 생물지수가 개발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1970년대부터 국외에서 개발된 생물지수를 적용하는 연구되기 시작했으며, 1990년대 초부터 오수생물지수(Yoon-Kong's SI), 종합생물점수(Total biotic score, TBS), 군오염도지수(Group Pollution Index, GPI),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생태점수(ESB), 우점생물지수(Dominant Species Index, DSI), 한국오수생물지수(Korean Saprobic Index, KSI) 등 우리나라 환경에 적합한 생물지수가 개발되었다.

생물지수 소개

(1) 한국오수생물지수(KSI)

환경부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에서 이용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수환경 평가 방법으로, 5대강의 본류, 지류, 기타하천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한국오수생물지수는 하천의 여울(급류대)에서 조사한 정량적 결과만으로 산출하는 지수로, 각 지표생물군의 오탁계급치와 지표가중치, 개체수밀도로 산출된다(원 등, 2006).

[표3. 한국오수생물지수의 생물등급의 판정]

생물등급 환경 상태 한국오수생물지수 (KSI)
A 최적 0.00 ~ ≤1.00
B 양호 1.00 ~ ≤2.40
C 보통 2.40 ~ ≤3.60
D 불량 3.60 ~ ≤5.00

 

(2) 저서무척추동물 생태점수(Ecological Sco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ESB)

환경부 전국자연환경조사에서 이용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수환경 평가 방법으로, 출현한 모든 생물종의 환경질점수를 합산하여 조사지점에 대한 수환경을 평가한다.

 

[표4. 저서무척추동물 생태점수를 활용한 생물등급]

환경질의 평가
ESB 지수 환경상태 지역구분 수질등급
81이상 매우양호 최우선보호수역 I
61~81미만 양호 우선보호수역
41~61미만 다소양호 보호수역
26~41미만 다소불량 개선수역
13~26미만 불량 우선개선수역
13 미만 매우불량 최우선개선수역 Ⅳ-Ⅴ

 

한국오수생물지수(KSI)의 오탁계급치, 지표가중치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