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 ‘황금개구리’ 국내 습지에서 발견! 

작성자 동북아 작성일 2013-11-29
출처 E-환경뉴스 URL 바로가기
첨부파일 첨부파일없음
첨부이미지

 희귀 ‘황금개구리’ 국내 습지에서 발견!

 

흔히 ‘알비노’라고 불리는 백색증으로 인해 황금색을 띄는 매우 희귀한 참개구리 두 마리가 국내 습지에서 발견되었습니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전국내륙습지 모니터링 조사’를 하던 중 지난 6월 초 충남 아산시 일대 습지에서 백색증 참개구리 올챙이 두 마리를 발견했는데요, 현재 국립습지센터에서 이들의 성장 과정을 관찰하고 있습니다. 


백색증은 멜라닌색소 합성이 결핍되어 발생하는 선천성 유전질환으로 백색증을 가진 동물은 피부, 깃털, 모발 등이 흰색 또는 노란색으로 나타나고 눈은 붉은 색을 띄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백색증은 원인과 증상에 따라 백색증과 루시즘으로 구분되는데요, 백색증 개체는 눈이 붉은 데 반해 루시즘은 정상적으로 검은 눈을 갖는다는 것이 가장 큰 차이입니다.


이번에 발견된 참개구리는 몸 전체가 노란색이고, 눈은 붉은색을 띄는 전형적인 백색증의 특징을 보였습니다.


참개구리 사진

<백색증 참개구리 사진>

 

 변태중인 백색증 참개구리 올챙이 변태를 마친 백색증 참개구리  

<좌:  변태중인 백색증 참개구리 올챙이 / 우: 변태를 마친 백색증 참개구리>


이들은 보호색이 없어 포식자에 쉽게 노출되고, 먹이를 잡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자외선에도 매우 약하기 때문에 야외에서 백색증 개구리가 발견될 확률은 약 3만분의 1에 그칠 정도로 매우 희귀합니다.


이에 국립습지센터는 백색증을 나타내는 양서류에 관한 국내외 사례와 문헌자료를 수집하고, 백색증 참개구리의 형태와 성장 과정을 분석해 그 연구결과를 다음달 한국양서·파충류학회지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과학원 국립습지센터 관계자는 “이 같은 발견은 습지가 가진 다양한 생물 서식처로서의 기능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며, 향후 이들의 혈액을 소량 채취해 염색체와 유전자 분석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전국내륙습지 모니터링 조사는 국가 습지정책의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기획됐으며, 올해는 전국 총 19개 권역 중 6개 권역을 대상으로 습지유형, 물리적 현황 등의 무생물과 식생, 생물 등 3개 분야에 걸쳐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전 글 여름철새 ‘쇠개개비’ 이동경로 찾았다!
다음 글 멸종위기종 복원 컨트롤타워, 2017년 출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