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참빗살나무 포함 11종 생물 새롭게 발견!

작성자 동북아 작성일 2014-02-21
출처 E-환경뉴스 URL 바로가기
첨부파일 첨부이미지 독도 참빗살나무 포함 11종 생물 새롭게 발견(보도자료).hwp  
첨부이미지

독도, 참빗살나무 포함 11종 생물 새롭게 발견!

 

환경부 소속 대구지방환경청은 독도 생물자원 확보와 자연생태계 보전을 위해 실시한 ‘2013년도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 및 식물 유전자 분석’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그 결과,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을 시작한 2005년부터 2012년까지 식물, 조류 등 630종이 확인됐으며 이번 조사에서는 식물과 조류, 곤충 및 해양무척추동물, 해조류 등 총 294종의 생물을 관찰하여 그동안 독도에서 발견된 생물은 총 641종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기존 독도 조사연구문헌에 보고되지 않았던 참빗살나무 등 생물 11종이 새롭게 확인되어 그동안 총 99종의 새로운 생물종을 확인·보고하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미기록종 11종은 참빗살나무 식물 1종, 솔양진이, 붉은가슴도요, 세가락도요, 집비둘기, 벙어리뻐꾸기, 휘파람새, 동고비, 떼까마귀, 긴발톱멧새 등 조류 9종과 검정넓적꽃등에 곤충 1종입니다.


참빗살나무 사진
<참빗살나무>


솔양진이 긴발톱멧새
<좌 : 솔양진이 / 우 : 긴발톱멧새>


참빗살나무는 화살나무속으로 식별형질의 중복현상과 변이가 심해 형태를 통한 종판별이 어려운 분류군으로 서도에서 4개체 확인되었으며, 비둘기과, 지빠귀과 등 조류의 식이식물로 이들에 의해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환경부는 독도 자생식물에 대한 유전분석을 실시하여 한반도와 다른 독특한 환경에서 자라는 식물의 특이성을 규명할 기초정보를 확보했으며, 앞으로 독도 자생식물의 증식·복원과 실효적 지배를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확보된 유전정보는 신뢰성 확보와 과학적 관리를 위해 미국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NCBI)와 국립생물자원관에 엽록체 유전체 5종이 등록·인계됐으며, 유전정보를 필요로 하는 학계와 산업계에 공개될 예정입니다.


한편 환경부와 대구청은 생물지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독도의 생태계 모니터링과 유전정보 분석을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독도의 자연 생태계 보전과 생물주권 확보를 더욱 확고하게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전 글 중국산 따오기, 새신부 찾는다
다음 글 멸종위기 담수어류, 이렇게 지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