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 착각한 개구리, 산란시기 빨라져

작성자 동북아 작성일 2014-03-20
출처 E-환경뉴스 URL 바로가기
첨부파일 첨부이미지 기후변화 민감지표종 개구리 산란시기 빨라져(보도자료).hwp  
첨부이미지

봄 착각한 개구리, 산란시기 빨라져

 

변덕스런 봄 날씨에 개구리의 산란시기가 빨라지고 있습니다. 지리산의 북방개구리가 올해는 지난해보다 3일이 빠른 2월 1일부터 산란을 시작했는데요, 이는 2010년 이후 21일이나 빨라진 날짜입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기후변화와 생태계 변화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2010년부터 지리산에서 북방산개구리 산란시기를 관찰한 결과 올해는 2월 1일부터 산란을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관찰 결과에 따르면, 북방산개구리 산란시기는 매년 빨라지고 있으며 2010년 2월 22일, 2011년과 2012년에는 2월 23일, 지난해는 2월 4일을 기록했습니다.


환경부가 2010년 ‘기후변화 민감 지표종’으로 지정한 북방산개구리는 일정기간 따뜻한 온도가 지속된 후 비가 내리면 산란을 시작해 기후변화와 관계가 높은 생물인데요, 

 

무등산국립공원에서는 1월말부터 날씨가 계속 따뜻해지면서 북방산개구리가 산란을 시작했는데 이후 다시 추워지면서 수위가 낮은 곳에 산란된 개구리 알들은 꽁꽁 얼어붙었다.
<무등산국립공원에서 산란된 개구리알들이 꽁꽁 얼어붙었다. >

무등산국립공원에서는 1월말부터 날씨가 계속 따뜻해지면서 개구리들이 동면에서 깨어났다가 이후 다시 추워지면서 얼어 죽은 채 발견됐다.
<무등산국립공원에서는 1월말부터 날씨가 계속 따뜻해지면서
개구리들이 동면에서 깨어났다가 이후 다시 추워지면서 얼어 죽은 채 발견됐다.> 


공단 소속 국립공원연구원 장민호 박사는 “일시적으로 날씨가 따뜻해지면 개구리는 봄으로 착각해 알을 낳는다”면서 “이후 평년 기온을 회복하게 되면 동면에서 깨어난 개구리나 알이 얼어 죽을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실제로 무등산국립공원에서는 올해 1월말부터 2월초까지 따뜻한 날씨가 계속 되면서 많은 북방산개구리들이 산란을 했으나, 2월 3일부터 6일까지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면서 수위가 낮은 곳에 산란된 알들은 꽁꽁 얼어붙은 채 발견됐습니다.


이처럼 기후변화로 인해 개구리 수가 줄어들게 되면 개구리를 먹이로 하는 파충류, 맹금류, 족제비류 등에도 영향을 주게 되어 연쇄적인 생태계 변화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신용석 국립공원연구원장은 “현재 기후변화가 국립공원 자연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지리산, 덕유산 등에 미(微)기후 측정 시스템을 구축했으며 양서류와 조류의 산란시기 변화를 관찰하고 있다”면서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국립공원 생태계의 변화를 예측하고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전 글 멸종위기 담수어류, 이렇게 지켜요
다음 글 지리산 반달곰, 새끼 5마리가 태어났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