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륙습지에서 ‘멸종위기종 7종’ 확인!

작성자 동북아 작성일 2014-10-07
출처 E-환경뉴스 URL 바로가기
첨부파일 첨부이미지 야생 동식물의 보고 내륙습지 멸종위기종 7종 확인(10.01 보도자료).hwp  
첨부이미지

내륙습지에서 ‘멸종위기종 7종’ 확인!

 


내륙 지역에 위치한 생태 우수습지에 멸종위기종 7종을 포함한 1,700여 종의 야생 동·식물이 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강원 인제 심적습지, 전남 해남 고천암호, 전남 곡성 백련제습지를 대상으로 지난해 전국내륙습지 정밀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정밀조사는 전국내륙습지 일반조사를 통해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건강하여 생태우수습지로 선정된 심적습지(2012년), 고천암호(2010년), 백련제습지(2012년)를 대상으로 진행했습니다. 

조사 결과, 식물 583종을 포함하고 곤충, 양서·파충류, 조류, 포유류 등 동물 1,188종을 더해 총 1,771종의 야생 동·식물이 해당 습지에 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가원 인제 심적습지 전경
<강원 인제 심적습지 전경>

강원 인제 심적습지는 산지습지로 멸종위기야생생물Ⅰ급인 산양 1종, Ⅱ급인 하늘다람쥐, 삵, 왕은점표범나비 3종 등이 확인됐으며 식물 482종, 동물 799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큰고니(멸종위기 Ⅱ급, 고천암호)
<큰고니(멸종위기 Ⅱ급, 고천암호)>

전남 해남 고천암호는 주요 철새 도래지인 간척호습지로 멸종위기야생생물 Ⅰ급인 수달 1종, Ⅱ급인 삵, 큰고니, 독수리 3종 등이 확인됐으며 식물 81종, 동물 387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남 곡성 백련제습지는 담수호습지와 저층습원의 특성을 모두 가진 습지로고마리 등 식물 108종, 족제비 등 동물 287종이 확인됐습니다.  

특히 심적습지는 작은황새풀, 진퍼리새, 끈끈이주걱과 같은 산지습지 진단종이 분포하는 등 전형적인 산지습지의 특성이 잘 보존돼 있으며 생물다양성이 높고 멸종위기야생동물이 다수 서식하고 있어 보존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국립습지센터 관계자는 “2013년 전국내륙습지 정밀조사 결과는 습지보전을 위한 계획 수립에 활용할 예정” 이며 “보고서는 국민들도 습지에 관한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누리집(www.wetland.go.kr)을 통해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문의사항 : 국립습지센터 Tel. 055-530-5522

 

이전 글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 총회 임박, 주목할 분야는?
다음 글 생물다양성 총회 맞춰 오대산에 산양 4마리 방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