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리산에 ‘크리스마스 트리’가 있다?

작성자 동북아 작성일 2014-11-14
출처 E- 환경뉴스 URL 바로가기
첨부파일 첨부이미지 토종식물 구상나무 군락 속리산에서 최초 발견(11.10 보도자료).hwp  
첨부이미지

속리산에 ‘크리스마스 트리’가 있다?

구상나무가 속리산에서도 살고 있는 것으로 처음 확인되었는데요, 해외에서 일명 크리스마스 트리로 불리는 구상나무는 우리나라 토종식물로 해외로 유출된 식물종의 대표적인 사례에 속합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는 기후온난화로 분포면적이 크게 줄어들고 있는 구상나무를 10월 초에 속리산에서 처음으로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절벽 위 푸르름을 간직한 구상나무 사진
<절벽 위 푸르름을 간직한 구상나무 사진>

구상나무는 문헌상으로는 우리나라 아고산지대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실제 관찰된 지역은 오대산, 덕유산, 가야산, 지리산, 한라산 등으로 제한적인데요, 그나마 군락단위로 분포하는 지역은 지리산과 한라산밖에 없습니다.

이번에 발견된 구상나무는 문장대와 천왕봉 사이 높이 1,000m 지점에 흉고직경 8~32cm의 크기로 수십 그루가 군락을 이루고 있습니다. 공단은 큰 나무 주변에 어린나무들도 자라고 있어 자연 번식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구과를 맺은 구상나무 사진 구상나무 군락형태 사진
<좌: 구과를 맺은 구상나무 / 우: 구상나무 군락형태>

속리산사무소 관계자는 “구상나무가 주로 절벽지역에서 자라고 있어 정밀조사가 쉽지 않다” 면서 “향후 추가 조사를 통해 군락규모와 성장상태 등을 파악할 예정이다”라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우리나라 구상나무를 1998년 위기근접종으로 평가했으며, 이후 기후변화로 분포면적이 급격히 감소하자 지난해 멸종위기종으로 지정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구상나무는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으로 선정됐으며, 분포면적이 급속이 감소하고 자생지간 거리가 멀어 유전자교환이 어려운 실정입니다.

공단 관계자는 “우리나라 전체의 구상나무 보전 차원에서 볼 때 이번에 발견된 속리산 구상나무 군락은 유전적 다양성 확보에 중요한 가치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 문의사항 : 속리산사무소 Tel. 043-542-5267

 

이전 글 습지보호지역 지정으로 생명의 희망 가득!
다음 글 지리산·설악산·오대산 국립공원, IUCN 녹색목록 등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