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수생물 세계적 전문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에 모인다

작성자 자원관 작성일 2015-12-02
출처 환경부 보도자료 URL 바로가기
첨부파일 첨부이미지 담수생물 세계적 전문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에 모인다(11.25 보도자료).hwp  
담수생물 세계적 전문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에 모인다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11월 25일부터 3일간 경북 상주에서 ‘담수생물 보전 및 활용 전략’을 주제로 국제심포지엄 개최

▷ 담수생물분야의 선진 사례 공유, 학술적 논의 등 국제 교류를 통하여 국가 담수생물자원 연구를 본격적으로 추진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관장 안영희)은 11월 25일부터 27일까지 경북 상주시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내에서 ‘담수생물 보전 및 활용 전략’을 주제로 ‘제1회 담수생물 다양성과 활용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은 담수생물 분야의 선진 사례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미국, 호주, 중국  등 세계적인 담수생물자원 권위자 4인과 국내 담수생물 전문가 6인을 비롯하여 관련 학회, 연구기관, 정부 관계자 등 약 300여명이 참석한다.

이번 행사는 지난 7월 28일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개관이후 처음으로 열리는 국제행사로 담수생물 자원의 보전 및 활용성 연구에 대한 국제동향을 분석하고 최신 정보를 논의한다.

25일 열리는 첫 번째 세션에서는 중국의 주웨이홍 연변대학 교수가 ‘중국담수자원의 현황’을 주제로, 정연륜 경상대학 교수가 ’담수 유용균류 발굴 및 활용기술 개발‘이란 주제로 발표한다.

26일 열리는 두 번째 세션에서는 호주의 브렛 네일란 교수 뉴사우스웨일즈대학 교수가 ‘담수 환경유해생물 제어 및 활용기술개발’을 소개하며, 오희목 한국생명 공학연구원 박사와 조가연 국립생물자원관 연구관이 ‘담수 생물환경 보전전략 및 복원기술 개발’과 ‘한국 생물자원 발굴 현황 및 관리정책‘에 대해 각각 발표한다.

행사 마지막인 세 번째 세션에서는 미국의 제리 브랜드 텍사스대학 교수가 ‘미생물 은행 중요성과 활용’에 대해 발표한다. 조장천 인하대학 교수는 ‘담수 난배양 원핵생물 자원의 배양 및 유전체 연구의 동향과 전망’을 소개한다. 미국의 블라디슬라브 굴리스 코스탈케롤라이나대학 교수는 ‘담수균류 다양성과 생태 생리학적 특성 활용’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이 행사를 통해 세계 주요국가와 담수생물 분야와 관련한 국제협력을 강화하며, 국가 담수생물자원 보전과 활용 연구에 대한 중장기적 계획 수립에 활용할 계획이다.

안영희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장은 “이번 국제심포지엄을 통해 담수생물자원의 발굴 및 보존역량 등의 자원 연구 역량을 고취할 뿐만 아니라 유용소재로의 개발 가능성과 이를 통한 담수산업소재로의 발굴을 가속화하는 기틀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붙임  1. 국제 심포지엄 개요
        2. 국제 심포지엄 포스터
        3. 질의응답
        4. 전문 용어 설명.  끝.

이전 글 국립생물자원관-국립수목원, 생물다양성 보전 강화를 위한 협력체계 구축
다음 글 피라니아, 레드파쿠 등 7종 위해우려종으로 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