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해 무인도서에 멸종위기종 서식, 생태적 보전가치 높아

작성자 동북아 작성일 2013-06-03
출처 환경부 URL 바로가기
첨부파일 첨부이미지 (과학원__5.31)서남해_무인도서에_멸종위기종_서식__생태적_보전가치_높아.hwp  
첨부이미지

 

서남해 무인도서에 멸종위기종 서식, 생태적 보전가치 높아

 

 
 ◇ 2012년 전국 무인도서 자연환경조사 결과, 전남·제주 48개 무인도서에서 매, 수달 등 멸종위기야
생동물 13종 서식 확인


 ◇ 상록활엽수림과 해식애, 주상절리 등 경관도 뛰어나

 

------------------------------------------------------------------------------------------------------------------------------------------------------------------------------


□ 전남과 제주 일대 무인도서에서 멸종위기종 서식이 확인되는 등 이 일대가 생태계 보전가치가 높은 지역임이 밝혀졌다.


□ 환경부(장관 윤성규)와 국립환경과학원은 2012년 전남 진도, 해남, 강진, 완도, 장흥과 제주 추자도 일대 무인도서에서 생태계조사를 실시한 결과, 멸종위기야생동물 13종의 서식을 확인했다고 31일 밝혔다.
○ 이번 생태계조사는 전국 무인도서 자연환경조사의 일환으로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해 지형경관, 식생, 식물, 육상동물, 해안 무척추동물, 해조류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 1998년~2002년 1차 조사 결과 총 661개의 무인도서를 확인했고, 지난 2006년 시작해 2014년까지 이어지는 2차 조사를 통해 총 513개 무인도서를 대상으로 생태계 조사를 수행하고 있다.

- 2013년 현재 경남 통영, 고성, 거제, 창원 일대 57개 무인도서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 중이다.
   ※ 2013년 5월 말 현재, 독도 등 183개 도서는 특정도서로 지정됨


□ 조사 결과, 60개 무인도서 중 구도, 안매도, 외호도 등 48개 섬에서 매, 수달, 삵, 검은머리물떼새, 흑비둘기, 섬개개비, 새호리기, 조롱이, 벌매, 물수리, 수리부엉이, 알락꼬리마도요, 구렁이 등 총 13종의 멸종위기야생동물이 서식 또는 번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 지역이 멸종위기야생동물 서식에 중요한 지역임이 확인됐다.
○ 매는 조사지 전역에 폭넓게 나타났고, 검은머리물떼새는 갯벌이 발달한 진도, 해남 일대에서, 흑비둘기는 상록활엽수림이 우거진 진도, 완도 일대에서 주로 발견됐다.
○ 수달은 추자도 지역을 제외한 전역에서 폭넓게 이동하며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 식물은 사람의 손이 덜 닿은 비교적 먼 바다에 위치한 섬이 우수한 상태를 보였으며 구도, 도룡낭도, 소덕우도 등에는 후박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군락, 생달나무-육박나무군락 등 온난한 지역에 생육하는 상록활엽수림이 잘 보존돼 있었다.
○ 멸종위기야생식물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자란, 덩굴민백미꽃, 섬향나무 등 희귀식물이 일부 무인도서에서 확인됐다.
○ 직구도, 대마도, 도룡낭도, 외모도 등 일부 무인도서는 상록 활엽수림이 발달하는 등 식생이 우수했으나, 염소 방목으로 인해 생태계 교란이 우려됐다.


□ 경관은 조사지역 중 다도해 국립공원에 인접한 지역인 매물도, 직구도, 외공도, 도룡낭도 등에서 시아치, 주상절리, 암석돔, 단층함몰지형 등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수려한 지형경관이 확인됐다.
○ 매물도, 외공도, 상방고도에는 해안을 따라 대규모 주상절리가, 외공도, 염섬, 항도에는 시아치가 뛰어난 경관을 드러내고 있었다.
○ 도룡낭도에는 섬 정상부에 직경 약 20m, 깊이 약 40m에 이르는 단층함몰지형이 발달해 해식동과 연결된 특이한 현상을 보이고 있었다.
○  노치, 타포니, 해식애 등 해안 침식 지형은 경관이 수려할 뿐만 아니라 매와 수달 등 멸종위기야생동물 서식지로 이용되고 있어 생태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 국립환경과학원 관계자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경관적, 생태적 보전가치가 높은 무인도서를 대상으로 특정도서 지정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조사 자료는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해 환경영향평가 등 업무에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전 글 멸종위기 풍란, 아슬아슬 절벽끝 발견
다음 글 멸종위기 붉은점모시나비, 30쌍 방사…부활 날개 ‘훨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