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하구 습지에서 멸종위기종 새로 발견

작성자 동북아 작성일 2014-05-19
출처 E-환경뉴스 URL 바로가기
첨부파일 첨부이미지 한강하구 습지에서 희귀멸종위기종 새로 발견(보도자료).hwp  
첨부이미지

 

한강하구 습지에서 멸종위기종 새로 발견

 

한강하구 습지에서 희귀식물과 멸종위기종이 새롭게 발견되었습니다. 한강유역환경청은 지난해 5월부터 올해 2월까지 한강하구 습지보호지역 생태계를 조사한 결과를 23일 발표했습니다.

조사 결과, 식물 300종과 동물 249종이 한강하구 습지보호지역에서 발견됐으며, 이중 대구돌나물, 좀어리연꽃 등 식물 46종, 멸종Ⅱ급인 무산쇠족제비·검은머리촉새 등 동물 55종이 새롭게 발견됐습니다.


대구돌나물은 대구지역에서 처음 발견된 국내의 희귀식물로 제주도와 대구에서 2011년, 부산에서 2012년에 각각 발견됐으며, 이번 조사 결과 한강하구 습지보호지역 내에 있는 장항습지(고양)에서 극소수의 개체가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대구돌나물(희귀식물)
대구돌나물(희귀식물)
[사진제공: 한강유역환경청 윤석민]

 

좀어리연꽃은 동해안 석호, 서해안 사구습지, 내륙의 일부 습지에 서식하는 희귀식물로 한강하구 습지에서는 이번에 처음 발견돼 국내 자생지 중에서는 서해안 기준으로 최북단 서식지임이 확인됐습니다.


새롭게 발견된 야생동물인 무산쇠족제비는 소형 육식동물로 전국적으로 개체수가 적어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난 2012년에 지정됐으며, 공릉천 하구(파주) 지역에서 1개체가 발견됐습니다. 


무산쇠족제비(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무산쇠족제비(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사진제공: 국립생물자원관, 한상훈(촬영)]

 

검은머리촉새는 봄과 가을에 우리나라를 지나는 보기 드문 나그네새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이며 산남습지(고양)에서 2개체, 공릉천 하구(파주) 지역에서 1개체가 각각 확인됐습니다.


한강하구 습지에서 이번에 확인된 법정보호종은 총 29종으로 멸종Ⅰ급인 노랑부리백로, 저어새, 수원청개구리와 멸종Ⅱ급인 삵, 재두루미, 큰기러기, 붉은발말똥게 등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 중에서 수원청개구리는 공릉천 하구 지역 농경지에 비교적 넓은 범위에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했고, 붉은발말똥게는 공릉천 하구 습지에서 1개체가 확인되어 앞으로 자세한 조사와 보전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답됩니다.


한강청은 생태계의 보고(寶庫)인 한강하구 습지보호지역에 대한 생태계 관찰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며 조사결과를 토대로 우수한 습지자원의 체계적인 보전·관리 더불어 적극적인 생태계 복원사업을 추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문의사항 : 한강유역환경청 자연환경과 Tel. 031-790-2811

 

이전 글 흑산도, 겨울철새 월동지로 새롭게 밝혀져
다음 글 북한산에 멸종위기종 Ⅱ급 삵이 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