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 붉은점모시나비, 30쌍 방사…부활 날개 ‘훨훨’

작성자 동북아 작성일 2013-06-14
출처 환경부 보도자료 URL 바로가기
첨부파일 첨부이미지 (원주청_6.11)멸종위기_붉은점모시나비__30쌍_방사...부활_날개_훨훨(수정).hwp  
첨부이미지

멸종위기 붉은점모시나비, 30쌍 방사…부활 날개 ‘훨훨’

 


 ◇ 원주지방환경청, 10일 오후 삼척 기존 서식지에 인공 증식한 나비 30쌍 추가 방사
 ◇ 2010년 31개체에서 올해 139개체로 4배 이상 증가

 


□ 환경부 원주지방환경청은 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인 붉은점모시나비의 복원을 위해 10일 오후 삼척시 하장면의 기존 서식지에 붉은점모시나비 30쌍을 추가로 방사했다.
○ 붉은점모시나비는 기후변화에 민감한 한지성 곤충으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집과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에 등록된 세계적인 멸종위기 곤충이다.
 ※ CITES :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flora
- 날개에 원형의 붉은색 무늬가 있어 태양의 신을 지칭하는 ‘Apollo butterfly’ 라는 영명이 붙어있는 가장 아름다운 나비 중 한 종류다.


□ 이번 방사는 기후 변화와 서식 환경 악화, 1주일여 다른 암수의 성충이 되는 시기로 인한 짝짓기 기회 부족 등으로 개체수가 급감해 멸종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 추진됐다.
○ 붉은점모시나비의 최대 서식지인 삼척시 하장면 일원에 서식하는 붉은점모시나비는 2004년 최초로 발견됐으며, 당시의 수는 316개체였다.
○ 그러나 기후변화와 서식환경 악화로 2010년에는 단 31개체만 발견되는 등 개체수가 급감했다.


□ 이에 따라 원주지방환경청은 붉은점모시나비를 복원하기 위해 (사)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에서 인공 증식한 나비를 2011년 10쌍, 2012년 20쌍을 방사했으며, 이번에 30쌍을 추가 방사했다.
○ (사)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소장 이강운)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 서식지외보전기관으로 2006년 삼척지역에서 포획한 붉은점모시나비 2쌍을 이용해 생활사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를 통해 대량 증식하는데 성공했다.


□ 복원사업 추진결과, 2010년 31개체까지 떨어졌던 나비의 개체 수는 2012년 기준 139개체로 복원사업 추진 후 약 4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붉은점모시나비 복원사업이 성공한 것으로 평가된다. 

□ 원주지방환경청은 삼척시 일원에서의 붉은점모시나비 복원 성공사례를 바탕으로 내년부터는 강릉, 정선, 영월 등 붉은점모시나비 서식 가능지역을 대상으로 복원사업을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 이밖에도 원주지방환경청은 2011년부터 매년 붉은점모시나비의 먹이식물인 기린초와 쥐오줌풀을 심어 재배하고, 서식지에 대한 솎아베기를 실시하는 등 붉은점모시나비 서식환경 개선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 붙임: 붉은점모시나비 생태특성. 1부. 끝.

 

 

이전 글 서남해 무인도서에 멸종위기종 서식, 생태적 보전가치 높아
다음 글 국제적 멸종위기종 해마, 한국미기록종 발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