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육상식물 30종, 최초 발견

작성자 동북아 작성일 2014-09-12
출처 E-환경뉴스 URL 바로가기
첨부파일 첨부이미지 생물자원관 국내에 자생하는 육상식물 30종 최초 발견(07.15 보도자료).hwp  
첨부이미지

우리나라 육상식물 30종, 최초 발견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이 지난해 시행된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 사업’ 결과,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국내 분포 육상식물 신종 6종과 미기록종 24종 등 30종을 최초로 발견했습니다.


신종이란 새로 발견된 종을 뜻하며, 미기록종은 신종으로 발표되었으나 우리나라에 살고 있는 기록이 없던 종을 의미합니다.

 
이번에 발견된 신종 6종은 제주도를 포함한 남해안과 강원도 일대에 살고 있는 둥근망울이끼과, 작은귀이끼과의 이끼류 3종과 장미과 식물에 속하는 딸기속, 벚나무속, 장미속의 종자식물 3종입니다.  

 

작은이끼과 사진 장미속 사진
<신종 :  좌)작은이끼과 / 우)장미속> 


미기록종 육상식물 24종은 제주도와 전라남도 일대에서 살고 있고 이끼류 13종, 고사리류 5종, 종자식믈 6종 등입니다.


특히 제주도에서는 동남아시아나 호주 등의 일대에서 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늦은서리이끼, 층층지네고사리, 점개구리밥 등 7종의 육상식물이 발견됐습니다.

 

늦은서리이끼 사진 점개구리밥 사진
<미기록종 : 좌)늦은서리이끼 / 우)점개구리밥>

층층지네고사리 층층지네고사리
<미기록종 : 층층지네고사리>


또한 지금까지 일본에만 사는 것으로 알려진 애기보리알이끼, 토르텔라-자포니카, 마르스텔라-미누피시마 등 이끼류 3종과 종자식물인 애기조롱이 우리나라에도 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자원관은 이번에 최초로 발견된 육상식물 30종에 대해 우리나라 고유의 이름을 부여하고,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해 이들 육상식물이 우리나라의 자생 생물자원임을 알릴 계획입니다.


한편 자원관은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 사업을 통해 2006년부터 지난해까지 신종·미기록종 육상식물 170여종을 발견했습니다.
 


√ 문의사항 :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Tel. 032-590-7390

이전 글 월영습지, 지역 주민 적극 찬성으로 습지 보호구역 지정
다음 글 ‘반달곰 복원 10주년’ 국제 심포지엄 열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