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종 Ⅰ급 여우 방사

작성자 박창득 작성일 2017-06-13
출처 e-환경뉴스 URL 바로가기
첨부파일 첨부파일없음
멸종위기종 Ⅰ급 여우 방사

환경부(장관 조경규)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박보환)은 올해 2월 말부터 4월 현재까지 소백산 일대에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인 여우 암컷 13마리를 순차적으로 방사했다고 밝혔습니다


올해 야생으로 방사된 여우는 2014년부터 3년 간 중국, 서울대공원에서 도입한 2~5년생 암컷 10마리와 올해 1~2월 발신기 교체를 위하여 야생에서 회수된 증식 개체 중 짝짓기 과정을 거쳐 임신이 확인되어 재방사한 암컷 3마리입니다.
 

2017년 신규방사 개체
< 2017년 신규방사 개체 >

2017 재방사 개체 (발신기 교체 포획 → 교미 → 방사)
2017 재방사 개체 (발신기 교체 포획 → 교미 → 방사)


※ 국립공원관리공단은 2016년 4월 야생에서 태어난 새끼 3마리를 포함한 여우 10마리(암컷 7마리, 수컷 3마리)를 올해 1~2월 발신기 교체를 위해 회수 


이에 따라 소백산 일대에는 이번에 방사하는 13마리를 포함해 총 18마리의 여우가 야생에서 활동하게 되며, 새끼 출산에 따라 그 수가 30마리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요, 이번 방사는 예년과 달리 개체 선별기준(번식쌍→임신개체), 자연적응 훈련 방식(사람 기피훈련→친숙훈련), 방사시기(교미직후→출산 3~4주전)를 개선하여 시행한 것이 특징입니다.
 

현황사진

 


이는 지난 5년간('12~'16년) 시험방사 결과를 바탕으로 자연 상태에서 출산을 통한 자연적응 유도와 초기 생존율을 높이는 방식입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출산 및 양육과정 중에 질병 등에 의한 자연사를 비롯해 불법 엽구, 로드킬 등 인위적 위협요인에 의한 폐사로 생존 개체수가 감소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해, 엽구 수거 등 서식지 안정화 노력을 지속적으로 병행할 계획인데요,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소백산에 방사된 여우 32마리 중 자연 적응과정에서 불법 엽구 등으로 인해 13마리가 폐사했고, 7마리는 부상으로 회수된 바 있습니다.


조경규 환경부 장관은 '올해에는 임신한 개체의 지속적 방사를 통해 야생에서 15마리 이상의 여우가 태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면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복원사업의 성공을 위해 불법 엽구 수거, 로드킬 예방 등 서식지 안정화에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동참을 당부했습니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2020년까지 최소 50여 마리 이상의 성숙한 여우가 일정 지역 내에 활동하는 것을 목표로 복원사업을 진행 중입니다.
    

이전 글 멸종위기종 Ⅰ급 미호종개 인공증식 성공
다음 글 우리나라에는 반달곰이 살고 있는 원시림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