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00km 흰꼬리수리 여정의 비밀은?
작성자 | 동북아 | 작성일 | 2013-02-01 | |
---|---|---|---|---|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동물자원과 | URL | 바로가기 | |
첨부파일 | 20130125_보도자료_허위행.hwp | |||
“한국과 러시아 간 3,600km 대장정! 흰꼬리수리 머나먼 여정의 비밀을 밝히다.” ◇ 작년 2월 경기도 이천에서 인공위성 추적기를 부착하고 야생으로 돌려보낸 멸종위기 대형 맹금류인 흰꼬리수리가 러시아 하바로브스크에 머물다 올해 1월 한국으로 다시 돌아와 장장 3,600여 ㎞에 이르는 이동경로를 확인함 ◇ 한국에서 월동하는 흰꼬리수리의 이동경로는 그간 베일에 싸여 있었으나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상세한 이동경로와 번식추정 지역이 최초로 밝혀짐
□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이상팔)은 작년 2월 인공위성 추적장치를 부착하고 야생으로 돌려보낸 멸종위기Ⅰ급의 대형 맹금류인 흰꼬리수리가 올해 1월 한국으로 다시 돌아온 것을 확인하였다고 발표하였다. ○ 흰꼬리수리는 매목 수리과에 속하며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Ⅰ급으로 지정된 대형 맹금류로서 한국에는 대부분 겨울철새로 도래하는 종으로 알려져 있을 뿐 현재까지 이 종에 대한 이동경로 및 이동지역 등 상세한 생태정보는 밝혀지지 않은 실정이었다. ○ 국립생물자원관은 작년 1월 경기도 이천에서 탈진상태에서 구조된 후 경기도축산위생연구소 야생동물구조센터에 의해 건강을 회복한 흰꼬리수리(당시 1년생)에게 인공위성 추적장치 및 날개표지(윙텍 33번)를 부착하고 작년 2월 야생으로 돌려보낸 후 현재까지 이동경로를 추적하여 왔다. ※ 인공위성 추적장치를 이용한 야생동물의 이동경로 연구는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서 이용하는 첨단 연구기법이며, 날개표지는 윙텍(wing-tag)으로 불리는 이동경로 연구 방법의 하나로 대형 맹금류에 주로 적용함(사진 참조) ○ 흰꼬리수리의 이동경로를 추적한 결과 2012년 2월 15일 경기도 이천에서 야생으로 돌아간 후 같은 해 4월 6일부터 북쪽으로 이동을 시작하여 북한과 러시아 연해주를 거쳐 8일간 1,810㎞(직선거리 1,618㎞)를 이동하여 4월 14일 본 종의 번식지로 추정되는 러시아 하바로브스크 아무르강 유역에 도착하였다. ○ 이후 이 종의 번식지로 추정되는 러시아 하바로브스크에서 182일을 머문 후 2012년 10월 13일부터 남쪽으로 이동을 시작하여 북상시와 거의 동일한 경로를 거쳐 올해 1월 6일 우리나라 강릉에 도착함으로서 왕복 3,600여 ㎞의 거리를 이동한 것을 확인하였다. □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에서 월동하는 흰꼬리수리의 상세한 이동경로 및 번식추정 지역을 처음으로 확인하였으며, 야생동물 생태연구에 있어 야생동물구조센터와의 협력 및 향후 국제적 멸종위기종인 본 종의 보호전략 수립과 번식추정 지역인 러시아와의 국제 공동연구 추진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한국에서 월동하는 흰꼬리수리의 이동경로와 번식지역은 현재까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상황이었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최초로 본 종의 상세한 이동경로 및 번식추정 지역을 밝혀 향후 이 종의 서식지 보호대책과 보호전략 수립 등에 적극 활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 특히 이번 연구는 환경부의 지원을 받는 각 도별 야생동물구조센터와의 공조를 통해 추진함으로서 야생동물 생태연구에 있어 국립생물자원관과 지역 야생동물구조센터와의 모범적인 협력 사례가 되었다. ○ 또한 이 종의 번식지역으로 추정되는 러시아와의 공동연구 추진을 통해 지리적으로 동아시아 맹금류 이동 경로의 중심에 위치한 우리나라의 위상을 높이고 연구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앞으로도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흰꼬리수리 포함하여 다양한 철새를 대상으로 인공위성을 이용한 이동경로 추적 등 첨단 연구기법을 통해 생태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함으로서 희귀철새 등 야생동물의 보호‧관리 분야에서의 국제적 노력에 선도적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국가 생물주권 확보를 위한 기반 마련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이전 글 | 멸종위기종 담비·삵의 고산습지 서식 영상 최초 공개 | |||
다음 글 | 호랑이 없는 남한에선 담비가 ‘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