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 위기 야생생물Ⅰ급 노랑부리백로·저어새 백령도에서 번식 확인

작성자 박창득 작성일 2019-04-18
출처 e-환경뉴스 URL 바로가기
첨부파일 첨부파일없음
0410-멸종 위기 야생생물Ⅰ급 노랑부리백로?저어새 백령도에서 번식 확인

그간 무인도에서만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멸종 위기 야생생물 Ⅰ급 노랑부리백로와 저어새가 사람이 살고 있는 백령도에서 최초로 번식에 성공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야생생물-I-급-노랑부리백로 야생생물-I-급-저어새
<멸종 위기 야생생물 I 급 노랑부리백로(좌)/ 저어새(우)>


한강유역환경청 생태계 변화관찰 조사단이 지난해 5월부터 실시한 ‘백령도 생태계 변화관찰’을 통해, 노랑부리백로 19쌍의 번식둥지를 확인했고, 번식에 성공한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노랑부리백로의 번식지 주변에서 3쌍의 저어새가 둥지를 지어 각 쌍이 새끼를 3마리씩 총 9마리를 기른 모습도 확인됐습니다. 노랑부리백로와 저어새가 국내 유인도에서 번식한 모습이 관찰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특수한 환경의 서해 섬에서 희귀 야생 동?식물의 피난처로서 생물 다양성에 기여

노랑부리백로
노랑부리백로


백로과 여름철새인 노랑부리백로는 몸은 흰색이며 번식기에는 뒷머리에 여러 가닥의 장식깃이 발달하고 부리와 발이 노란색입니다. 비 번식기에는 다리와 부리가 검은색에 가깝게 변하고 장식깃은 없습니다. 주로 한반도 서해안 일부와 중국 동남부, 러시아 남부의 두만강 접경 지역 무인도에서 번식하며, 전 세계 개체군은 약 3,000 ~4,100마리(국제습지연합 2016)*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노랑부리백로는 국제 자연보전연맹에서도 적색목록에 포함시켜 취약(VU, Vulnerable)의 범주로 평가하는 국제적인 보호 조류입니다.

* 국제습지연합(Wetlands International 2016) : wpe.wetlands.org/view/1627


저어새
저어새


여름철새인 저어새도 국제 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에서 위기(EN, Endangered)의 범주로 평가받는 국제적인 보호 조류로, 홍콩 조류협회가 지난 2018년 실시한 국제 저어새 동시조사(The International Black-faced Spoonbill Census 2018)를 통해 전 세계 저어새 개체군을 약 3,941마리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몸은 흰색이며, 긴 주걱 모양으로 주름이 많고 검은 부리가 특징입니다. 번식기에는 노란색의 가슴띠와 머리 뒤 장식깃이 발달하며, 유조는 날개 끝에 검은색의 줄무늬가 있습니다. 저어새는 홍콩, 대만, 중국, 베트남 등의 동아시아 지역에서 서식하고 있으며, 소수의 개체가 제주도로 월동합니다.
 

가는쑥부쟁이
가는쑥부쟁이


한강청은 이번 노랑부리백로와 저어새의 번식지 조사 중에 국내 생육지가 확인되지 않았던 북방계 식물인 가는쑥부쟁이 20여 개체를 백령도에서 처음으로 확인했습니다. 가는쑥부쟁이는 중국 동북부, 몽골, 시베리아 등 동북아시아 고위도 지역인 온대북부에 분포하는 북방계 식물인데요, 이번 발견은 식물지리학*적 측면에서 백령도가 한반도 최남단의 유일한 생육지임을 뜻하는 것입니다.
* 식물지리학: 지구상에 있는 식물의 지리적 분포와 원인을 밝히는 학문

희귀식물인-물여뀌
<희귀식물인 물여뀌>


한편, 한강청 생태계 변화관찰 조사단은 인천에서 서남쪽 직선거리로 70㎞ 떨어진 백아도에서 희귀식물이자 수생식물인 물여뀌의 자생지를 지난해 10월 처음으로 확인했습니다. 물여뀌는 오래된 못이나 저수지 같은 습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원줄기는 진흙 속으로 뻗으며 잎은 물에 떠 자랍니다. 그간 물여뀌 생육지는 경상도 지역에서만 발견됐으며, 이 지역을 제외한 다른 곳에서 생육지가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한국 적색목록은 물여뀌를 취약(VU) 범주로 평가하며, 습지매립과 개발, 저수지 준설과 정비에 따른 피해로 물여뀌의 생육지가 파괴되거나 사라져 개체 수가 감소하는 추세에 있습니다. 

저어새- 식에 성공한 E05 성조와 유조
저어새 - 번식에 성공한 E05 성조와 유조


이번 생태계 변화관찰에서 확인된 멸종 위기종의 번식지와 희귀식물 생육지가 우리나라 자연 생태계의 학술적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앞으로 이 자료들은 생물자원 보전을 위한 정책 수립에 귀중한 자료로 제공될 계획입니다.

√ 관련자료 : [보도자료]멸종위기 Ⅰ급 노랑부리백로·저어새 백령도에서 번식, 유인도에서는 최초 사례 
√ 문의사항 : 자연환경과 Tel. 031-790-2845

이전 글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갯게 동면 모습 최초로 확인
다음 글 (공동)4대강 보 건설 이후 최초로 금강 세종보 하류에서 멸종위기종Ⅰ급 흰수마자 발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