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납작평탑달팽이

Punctum dageletense Kuroda & Hukuda, 1944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연체동물
  • 분류체계
    • - 복족강(Gastropoda) 납작평탑달팽이과(Punctidae)
  • KTSN : 자료없음
  • 적색 분류 : 위기(EN)
  • IUCN범주 : 자료없음

요약

한국 특산종으로 울릉도가 모식산지다. 국내 울릉도에서만 출현하는 서식 범위가 매우 협소한 종으로 서식처는 납작평탑달팽이(Punctum depressum)와 유사하다. 개체수가 격감하고 서식처도 감소해 위기종(EN)으로 평가했다.  

형태

패각은 나탑이 낮은 원추형이다. 나층은 4층으로 유사종에 비해 나탑이 높은 편이다. 패각은 황갈색을 띠고 광택은 나지 않는다. 표면에는 다소 거칠고 촘촘한 종륵이 각정 부분을 제외한 패각 전체에 나타난다. 봉합은 아주 깊고 뚜렷해 각 나층은 계단상 경계를 이룬다. 체층 가장자리는 각이 없이 둥글고 체층 저면은 평평하다. 각구는 둥근 원형이며 가장자리는 두꺼워지거나 젖혀지지 않는다. 제공은 크게 넓지 않지만 깊어 각정 층이 관찰된다. 성체의 크기는 각고 4㎜, 각경 7㎜ 정도다.  

생물학적 특성

한대성 종으로 울릉도의 깊지 않은 숲의 낙엽 밑이나 돌 밑에 주로 출현한다. 자웅동체이며 자세한 생활사와 생식방법에 대한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다.  

분포 현황

Kuroda and Hukuda(1944)가 울릉도에서 채집해 신종으로 발표했다. 모식산지인 울릉도 외의 추가적인 서식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번식 현황

정보부족  

서식지 동향

정보부족  

개체수 현황

정보부족  

분류학적 특성

정보부족  

국제 동향

정보부족  

위협 요인

울릉도의 산지개발 및 도로 확포장 등으로 인한 서식처 파괴가 주요 위협 요인이다. 서식지에서의 출현 개체수도 매우 낮은 편이다.  

특기 사항

정보부족  

평가 결과

울릉도의 좁은 출현범위와 낮은 출현 개체수 빈도로 A1(a,c);B2ab(ii)으로 평가했다.  

참고문헌

민덕기, 이준상, 고동범, 제종길. 2004. 한국패류도감. 도서출판 한글, 부산.
이준상, 민덕기. 2002. 한국 연체동물 목록. 한국패류학회지, 18(2): 93-217.
이준상, 민덕기. 2005. 우렁이와 달팽이. 민패류연구소. 서울. 134pp.
Kuroda, T. and M. Hukuda, 1944. Notes on the land snails of Ullung Island. Venus, 13(5-8): 206-228, pls. 5,6.  

영문초록

It is a Korean endemic species where Ulleung Island is the type locality. Its habitat is similar to that of Punctum depressum. The population has plummeted and the habitat has decreased that it is, therefore, evaluated as EN.  
집필자 : 이준상(강원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