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모래고둥

Gastrocopta jinjiroi Kuroda & Hukuda, 1944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연체동물
  • 분류체계
    • - 복족강(Gastropoda) 모래고둥과(Gastrocoptidae)
  • KTSN : 자료없음
  • 적색 분류 : 취약(VU)
  • IUCN범주 : 자료없음

요약

한국 특산종으로 경상북도 울릉도가 모식산지이며, 분포지도 울릉도로 제한되어 있다. 울릉도의 약간 건조하고 척박한 지역의 잔돌 틈에 서식한다. 환경변화와 서식처 파괴로 개체수가 감소했다.  

형태

패각 형태는 난원추형으로 나탑이 높고 나층은 4.5층이다. 각정은 둥글지만 유사종인 각시모래고둥(G. coreana)보다 뾰족하다. 살아있는 패각 겉면에는 이물질이 많이 묻어 있고, 이를 제거하면 은백의 광택을 낸다. 체층은 크지 않고, 봉합이 깊어 각 나층이 둥글게 부풀어 있다. 각구는 삼각형에 가까운 원형이고 내순 부분에 활층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약간 퍼진다. 각구의 외순과 저순 사이에 3개, 축순에 2개, 내순에 큰 이빨 모양 돌기가 2개 있는데 각시모래고둥에 비해 발달하지 않고 그 끝이 무딘 느낌이다. 성체의 크기는 각고 2.5㎜, 각경 1㎜ 정도다.  

생물학적 특성

모래고둥과(Gastrocoptidae)의 패류는 동부아시아. 시베리아. 호주, 하와이 등지에 분포하며, 국내에는 1속 2종이 서식한다. 울릉도모래고둥은 울릉도의 깊지 않은 숲의 잔돌이 많은 바닥에 서식한다. 자세한 생활사와 생식방법은 알려지지 않았다.  

분포 현황

한국 특산종으로 울릉도가 모식산지이며, 분포지도 울릉도로 제한되어 있다.  

번식 현황

정보부족  

서식지 동향

정보부족  

개체수 현황

정보부족  

분류학적 특성

정보부족  

국제 동향

정보부족  

위협 요인

환경변화와 산림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가 주요 위협 요인이다.  

특기 사항

정보부족  

평가 결과

울릉도의 한정된 지역에 출현하며, 개체수 감소로 B2ab(ii)으로 평가했다.  

참고문헌

권오길. 1990. 한국동식물도감. 제32권 동물편 (연체동물 Ⅰ). 문교부.
민덕기, 이준상, 고동범, 제종길. 2004. 한국패류도감. 도서출판 한글, 부산.
이준상, 민덕기. 2002. 한국 연체동물 목록. 한국패류학회지, 18(2): 93-217.
이준상, 민덕기. 2005. 우렁이와 달팽이. 민패류연구소. 서울. 134pp.
Kuroda, T. and M. Hukuda, 1944. Notes on the land snails of Ullung Island. Venus, 13(5-8): 206-228, pls. 5,6.  

영문초록

It is a Korean endemic species where Ulleung Island, Gyeongsangbuk-do is the type locality.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is limited to Ulleung Island. It lives in creeks of pebbles of areas that are a bit dry and barren. From a change in the environment of the area of Ulleung Island, the population has plunged.  
집필자 : 이준상(강원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