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아기밤달팽이

Yamatochlamys lampra (Pilsbry & Hirase, 1904)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연체동물
  • 분류체계
    • - 복족강(Gastropoda) 밤달팽이과(Helixarionidae)
  • KTSN : 자료없음
  • 적색 분류 : 취약(VU)
  • IUCN범주 : 자료없음

요약

일본 오키나와에 분포하고 국내는 제주도에서 발견되고 있다. 제주도의 습기 진, 숲속의 낙엽이나 잔가지에 붙어 서식한다. 분포지가 매우 제한적이고, 서식지의 환경변화와 개발 등으로 개체수가 현저히 감소하고 있다.  

형태

패각 형태는 원추형으로 나층은 5.5층이며 나탑은 높지 않은 편이다. 껍데기는 얇고 매끄러우며, 반투명한 갈색을 띠고 광택이 있다. 각정은 매끈하고 둥글며, 패각 전면에는 미세한 성장맥이 나타난다. 체층은 크고 가장자리에는 매우 약한 각이 있다. 체층 아랫면은 둥글며 편평하다. 봉합이 깊어 각 나층이 둥글고, 각 나층의 폭은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각구는 체층 가장자리 중간에 접하며 형태는 좁은 반원형으로 외순과 저순은 둥글다. 각구 가장자리는 두꺼워지거나 젖혀지지 않는다. 축순은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좁고 얕은 제공이 있다. 성체의 크기는 각고 4㎜, 각경 5.5㎜ 정도다.  

생물학적 특성

습기 진 숲 속의 낙엽 밑에 서식한다.  

분포 현황

일본에도 동일종이 서식한다. 국내에는 제주도와 거문도, 거제도 등 남해안 도서지방에 분포한다.  

번식 현황

정보부족  

서식지 동향

정보부족  

개체수 현황

정보부족  

분류학적 특성

정보부족  

국제 동향

정보부족  

위협 요인

남획 우려는 없으나 환경변화와 산림개발, 경작지 확대 등의 서식처 파괴가 주요 위협 요인이다.  

특기 사항

정보부족  

평가 결과

국내 분포범위가 제주도와 남해안 도서지방으로 한정되어 있고, 출현 군집수도 매우 제한적이다. 개체수도 감소해 B2ab(ii)으로 평가했다.  

참고문헌

권오길. 1990. 한국동식물도감. 제32권 동물편 (연체동물 Ⅰ). 문교부.
민덕기, 이준상, 고동범, 제종길. 2004. 한국패류도감. 도서출판 한글, 부산.
이준상, 민덕기. 2002. 한국 연체동물 목록. 한국패류학회지, 18(2): 93-217.
이준상, 민덕기. 2005. 우렁이와 달팽이. 민패류연구소. 서울. 134pp.
Pilsbry, H.A. and Y. Hirase, 1904. Descriptions of new land snails of the Japanese empire. Proceding of the Academy of Natural Sciences, 56(3): 616-638.  

영문초록

Domestically it is only found in Jeju Island. It lives sticking to the leaves or small branches of humid forests. Range of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is very confined and from the change in environment of habitats and development, the population size has noticeably decreased.  
집필자 : 이준상(강원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