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마뱀부치

Gekko japonicus Schlegel, 1836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파충류
  • 영명 : Japanese gecko
  • 분류체계
    • - 유린목(Squamata) 도마뱀부치과(Gekkonidae)
  • KTSN : 자료없음
  • 적색 분류 : 미평가(NE)
  • IUCN범주 : 자료없음

요약

목재 수입 및 화물선 등을 통해 우리나라에 이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개체수가 많은 편은 아니다.  

형태

몸길이는 100-120mm이고 꼬리는 몸통의 길이와 같거나 조금 짧다. 몸 빛깔은 등이 회색, 어두운 회색 또는 회갈색 바탕에 불규칙한 무늬가 있으나 선명한 것과 불명확한 것이 있다. 배는 일반적으로 흐린 백색 또는 회백색이다. 머리는 계란모양이고 주둥이는 길며 주둥이끝판은 옆으로 놓여있다. 즉 길이보다 폭이 훨씬 길다. 윗입술판은 10-11장이고, 아랫입술판은 9-10장이다. 뒤턱판은 2쌍인데 바깥쪽 1쌍은 안쪽 1쌍보다 작으며, 등에는 비교적 작게 융기한 알맹이 모양의 비늘로 덮이는데 큰 알맹이 모양의 것이 섞여있다. 수컷(♂)의 전항부에는 작은 구멍이 6-9개 줄지어있다. 발가락 기부에는 물갈퀴모양 막의 흔적이 있고, 흡반은 비교적 작으며, 발가락 아래판 중앙에서 갈라지지 않고 기부의 것이 매우 작다. 제2-5발가락의 끝마디는 흡반에 고착되어있지만 발톱은 선명하고 제1발가락의 끝마디는 짧고 발톱이 없다. 꼬리는 다소 납작하며 끝을 향해 차츰 가늘어진다(岡田 1981).  

생물학적 특성

살아있는 소형 절지동물만 먹고 그 외는 먹지 않는다. 가장 잘 먹는 먹이는 소형 거미류이고, 날아다니는 파리는 잡지 못하고 날개를 떼고 기어 다니게 한 작은 파리는 잘 먹으며, 작은 나방도 잘 먹는다. 사육 중인 개체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보통 2개의 알을 낳았는데 플라스틱 투명 사육통의 벽 윗면의 그물을 씌운 경계에 단단하게 붙여서 산란했으며 떨어지지 않는 것을 억지로 Ep려다가 얇은 난각이 부서졌다. 계란과 달리 탁한 우윳빛의 액체였다. 산란한 2개의 알 간격은 약 3cm이고 알 빛깔은 순백색이며 조금 길쭉한 계란모양이었다. 알 크기는 13.0×9.0mm와 13.0×10.0mm이다(송 2007).  

분포 현황

1907년과 1936년에 관찰된 기록이 있으며 부산시(가야동, 감천동, 광안동, 대연동, 대청동, 망미동, 부평동, 서대신동, 아미동, 충무동, 토성동, 화명동 등) 일대에서 주로 관찰된다(이 등 1999).  

번식 현황

정보부족  

서식지 동향

돌담, 건물 내·외벽, 나무 기둥 등지에 서식한다.  

개체수 현황

개체수에 대한 정보는 거의 없다.  

분류학적 특성

Gekko속의 도마뱀류가 ‘게코게코’ 소리를 내면서 울어 속명이 정해졌지만 본 종은 울지 않는다(이 등 1999).  

국제 동향

일본, 오키나와, 대만, 중국 중부 등지에 분포한다.  

위협 요인 및 보호대책

선박 등 교통수단의 발달로 도마뱀부치류가 추가적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기초 생태에 대한 추가 연구 수행을 통한 보호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현재는 종에 대한 정보가 매우 부족하다.  

특기 사항

본 종에 대한 연구는 충분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최초 발견지역을 중심으로 분포역이 확장되는 추세다.  

평가 결과

NE 본 종은 현 상황에 대해 평가하려는 그 어떤 시도도 없었으며, 매우 많은 정보들이 불충분해 NE로 평가했다.  

참고문헌

송재영. 2007. 한국산 파충류의 현황과 분포. 환경생물. 25(2): 124-138.
이종남, 우용태, 강승구, 이인섭. 1999. 한국산 도마뱀붙이 Gekko japonicus에 대해. 경성대학교부설기초과학연구소.
岡田 要. 1981. 新日本動物圖鑑(下). 北隆館. p.535-537.  

영문초록

We haven't information for this species in Korea fruitfully, but we think that recently these species is spreading the other areas from firstly discovered area(near Busan).  
집필자 : 송재영(국립공원연구원)

도마뱀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