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드럭조개

Lamprotula coreana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연체동물
  • 분류학적 위치
  • KTSN : 120000043781
  • 적색 분류 : 위급(CR)
  • IUCN범주 : 자료없음

요약

과거 대동강, 한강, 금강에 서식한 기록이 있으나, 현재는 금강의 일부 수계에서만 발견되는 한국 특산종이다. 수질이 양호하며 유속이 높은 하천 중·상류지역에 서식한다. 댐 및 보의 설치로 서식처 축소와 개체수가 크게 줄어들고 있다. 위급종(CR)으로 평가했다. 현재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 Ⅰ급이다.  

형태

담수산 이매패류로 패각은 중대형으로 둥글고 두꺼우며 단단하다. 각피는 두껍고 황색 바탕에 흑갈색을 띤다. 패각 표면에는 과립상의 굵은 결절이 등면을 따라 뒤쪽 끝까지 이어진다. 각정은 크게 돌출하지 않고, 앞쪽으로 치우쳐 있다. 패각 안쪽은 백색의 연한 자주색을 띠며, 주치와 후측치는 왼쪽 껍데기에 2개, 오른쪽 껍데기에 3개와 1개가 나타난다. 성패의 크기는 각장 45㎜, 각고 40㎜ 정도다.  

생물학적 특성

수심이 깊고 유속이 빠르며 바닥은 굵은 모래와 자갈이 깔린 곳에 주로 서식한다. 암수딴몸으로 10월에서 다음해 4월에 글로키디움을 보육하는 동계 산란형이며, 바깥쪽 아가미를 보육낭으로 이용한다. 모패에서 방출된 글로키디움은 어류의 지느러미나 아가미에서 기생생활을 거친 후 이탈해 유패로 변태한다.  

분포 현황

1987년 한강 본류 강동구 고덕동 근방에서 33개체의 두드럭조개가 채집된(김, 1989) 이래, 1990년 이후 관찰된 보고가 없어, 한강 개체군은 절종한 것으로 추정한다. 현재 금강 수계의 2~3지역에 출현하고 있다.  

번식 현황

정보부족  

서식지 동향

정보부족  

개체수 현황

정보부족  

분류학적 특성

정보부족  

국제 동향

정보부족  

위협 요인

한강 본류 개체군의 절종은 남획과 수질악화, 그리고 유속 감소로 인한 서식지 하상 변화가 원인으로 추측된다. 또한 갈수기에 서식처 유량 감소와 적정 숙주어종 감소도 위협 요인이다.  

특기 사항

정보부족  

평가 결과

점유면적과 출현범위가 매우 협소하고 서식지가 위협받고 있어, A1(a,c);B2ab(iii)으로 평가했다.  

참고문헌

국립수산과학원 중부내수면연구소. 2008. 멸종위기 및 유용 담수패류 서식 생태조사 보고서.
권오길. 1990. 한국동식물도감. 제32권 동물편 (연체동물 Ⅰ). 문교부.
김덕만. 1969. 담수산 패류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제1보 한강산 Lamprotula coreana와 L. gottschei의 분포 및 밀도에 관하여. 한국육수학회지, 2(3-4): 29-34.
김덕만. 1989. 한국 담수산 패류의 분포조사 연구. 제1보 경기도, 강원도 및 충청북도 일부 지역의 하천수계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 과학과 수학교육 논문집, 15: 11-71.
김재진. 1998. 한강 하류의 패류 분포상. 한국패류학회지, 14(2): 161-166.
민덕기, 이준상, 고동범, 제종길. 2004. 한국패류도감. 도서출판 한글, 부산.
이준상, 민덕기. 2002. 한국 연체동물 목록. 한국패류학회지, 18(2): 93-217
Martens, E. v. 1905 Koreanische S?sswasser-Mollusken. Zoologischen Jahrb?chern, suppl. 8, pp. 23-70, pls. 1-3.  

영문초록

There was a record in the past that it lived in Daedong River, Han River, and Gum River. Currently it is a Korean endemic species only found in a water system in a area of Gum River. It only lives in stream of the mid- and upper-area where the water quality is fair and the velocity of the water is high. With the installation of a dam and reservoir, the size of habitat and population is decreasing. It was evaluated as CR. Currently, it is designated as a first grade, endangered wild fauna and flora of th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집필자 : 이준상(강원대학교)

두드럭조개
두드럭조개
양현
두드럭조개
양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