털보꼬리박각시

Sphecodima caudata (Bremer & Grey, 1852)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곤충I
  • 분류체계
    • - 나비목 (Lepidoptera) 박각시과 (Sphingidae)
  • KTSN : 자료없음
  • 적색 분류 : 준위협(NT)
  • IUCN범주 : 자료없음

요약

박각시과에 속한다. 이 종은 강원도, 경기도, 전라남 도, 경상북도 등에서 채집기록이 있으며, 국지적으로 분포하고 개체수가 매우 적다. 출현정보가 희박해 생활사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형태

몸과 날개는 흑갈색이고, 더듬이는 등황색인데 기부는 약간 암색이다. 가슴에는 긴 털이 밀생했다. 배에는 담색의 가락지 모양 무늬가 있으나, 불분명하다. 꼬리술은 등황색이고 좌우로 구분되어 있다. 앞날개는 약간 자색을 띤 흑갈색이고, 톱니 모양의 종횡선이 2줄 있으며, 이의 안쪽에는 굵은 가로줄이 뚜렷하게 보인다. 굵고 뚜렷한 2줄의 아기선이 있으나, 후연까지 달하지 못하고 소실된다. 앞날개 끝은 넓게 담색이며, 후연각은 예리하게 돌출했, 돌출부에는 농색 줄무늬가 2줄 있다.  

생물학적 특성

날개 편 길이는 61-67㎜. 남한에서는 경기도와 강원도, 전북 등에서 국지적으로 채집되고 있으나 기록은 많지 않다. 부속도서에서의 기록은 없다. 국외에는 시베리아 동부와 러시아 극동지역, 중국 북부에 분포한다. 성충은 5월에서 7월에 걸쳐 나타난다. 신(2001)은 경기도 광릉에서 바나나를 먹이로 한 행깅트랩(hanging tarp)을 저녁에 설치했다가 아침에 트랩에 들어있는 성충을 채집했고, 야간에 수액이나 과실즙을 빠는 것으로 생각된다(신, 2001).  

분포 현황

강원도, 경기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등에서 국지적으로 분포한다.  

번식 현황

정보부족  

서식지 동향

정보부족  

개체수 현황

정보부족  

분류학적 특성

신유항. 2001. 원색한국나방도감. 아카데미서적. 1-551pp. Park, K.T., S.S. Kim, Yu. A. Tshistjakov and Y.D. Kwon, 1999. Illustrated Catalogue of Moths in Korea (I). In Park, K.T.(eds): Insects of Korea [4], pp. 387. 김창환, 남상호, 이승모. 1982. 한국동식물도감 동물편 곤충류(VIII). 문교부. pp.919.  

국제 동향

정보부족  

위협 요인

개체의 크기가 크고 화려한 날개무늬로 인해 채집압력이 높은 종으로 출현정보가 많지 않다.  

보존 현황

정보부족  

특기 사항

정보부족  

평가 결과

NT B1b(i) 산림일대에서 적은 개체가 확인되며, 출현범위는 비교적 넓은 편이다. 따라서, NT B1b(i)로 평가했다.  

참고문헌

정보부족  

영문초록

Sphecodima caudata (Bremer et Grey) was locally distributed in South Korea and was observed rarely at high mountainous region in Gangwon-do, Gyeonggi-do, Jeollanam-do, and Gyeongsangbuk-do. This species was collected from June to July in Korea.  
집필자 : 김성수(동아시아환경생물연구소), 김용기(생물자원환경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