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경산뱀눈나비

Oeneis urda (Eversmann, 1847)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곤충I
  • 분류체계
    • - 나비목 (Lepidoptera) 네발나비과 (Nymphalidae)
  • KTSN : 자료없음
  • 적색 분류 : 취약(VU)
  • IUCN범주 : 자료없음

요약

강원도 양양과 제주도 한라산의 고지에 분포한다. 서식지는 나무가 없는 키 작은 풀밭인데, 최근 풀밭의 감소함에 따라 이 종이 급격하고 감소하고 있다.  

형태

날개 편 길이는 38-52㎜이다. 날개는 엷은 갈색, 황갈색 또는 흑갈색, 두 색이 합쳐진 바탕에 외횡대에 뱀눈모양 무늬가 나타난다. 암수의 차이는 크지 않으나 암컷쪽의 바탕색이 조금 더 짙고, 더 크며, 배가 두드러지게 굵은 점으로 구별할 수 있다.  

생물학적 특성

주변이 확 트인 풀밭이나 임도의 벼랑과 같이 김의털이 잘 자라는 밝은 곳에서 산다. 한라산에서는 1,700m에 있는 윗세오름 주변 풀밭에 많다. 맑은 날 김의털 사이에서 비스듬히 앉아 쉬다가 인기척이 나면 5-6m 날아가 앉는다. 이때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여러 꽃에 날아와 꿀을 빤다(김·서, 2012).  

분포 현황

제주도 한라산 1,300m 부근의 초지와 강원도 양양 지역에서만 확인되고 있다(김·서, 2012).  

번식 현황

정보부족  

서식지 동향

정보부족  

개체수 현황

정보부족  

분류학적 특성

김성수 등. 2012. 한국나비분포도감. 국립산림과학원. 서울. 474pp. 김성수·서영호. 2012. 한국나비생태도감. 사계절출판사. 고양. 539pp. 김용식. 2002. 원색 한국나비도감. 교학사. 서울. 305pp. 박규택·김성수. 1997. 한국의 나비. 생명공학연구소·한국곤충분류연구회. 서울. 381pp. 석주명. 1970. 韓國産蝶類分布圖. 보진재. 서울. 517pp. 한국자연보존협회. 1981. 한국의 희귀 및 위기동식물. 1-29pp. Choi, S.W. and S.S. Kim. 2011. The past and current status of endangered butterflies in Korea. Entomological Science 1-12. Kim, C.W. 1976. Distribution atlas insects of Korea. (Series 1, Rhopalocera, Lepidoptera). Korea Univ. Press. Seoul. 200pp.  

국제 동향

정보부족  

위협 요인

서식지의 급속한 산림화에 따른 초지 감소 때문에 개체수가 급감하는 것으로 보인다.  

보존 현황

정보부족  

특기 사항

정보부족  

평가 결과

VU A1(a, d) 남한에서는 제주도 한라산 1,300m 부근의 초지와 강원도 양양 지역의 초지에만 분포하는데, 산지의 산림화로 초지가 축소되고 있으며, 기후변화에 따른 적응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원인으로 현재의 개체군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VU A1(a, d)로 평가했다.  

참고문헌

정보부족  

영문초록

Oeneis urda occurs in Yangyang of Gangwon-do and high altitude areas of Mt. Halla in Jeju-do. This species is a resident of short-turf grasslands without trees, but is declining rapidly with the disappearance of grassland habitats.  
집필자 : 김성수(동아시아환경생물연구소), 배양섭(인천대학교)

함경산뱀눈나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