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줄나비

Seokia pratti (Leech, 1890)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곤충I
  • 영명 : Exceptional Admiral
  • 분류학적 위치
  • KTSN : 자료없음
  • 적색 분류 : 위기(EN)
  • IUCN범주 : 자료없음

요약

현재 강원도 오대산과 설악산의 잣나무가 자라는 자연림에만 분포한다. 애벌레는 우리나라 나비 중 유일하게 침엽수인 잣나무를 먹는다. 서식지가 국립공원 내인데도 과도한 채집 때문에 수가 줄어들고 있다.  

형태

날개 편 길이는 57-60㎜이다. 날개 윗면은 흑갈색 바 탕에 황갈색 점무늬와 홍색 줄무늬가 있다. 특히 외횡대에 있는 홍줄 무늬 때문에 이 나비의 이름이 생겼다. 날개 아랫면은 전체적으로 어두운데, 날개 윗면의 무늬와 거의 같지만 노란색 무늬가 전체적으로 많아 조금 밝게 보인다. 특히 뒷날개 기부에는 노란 바탕에 검은 점 3개가 보인다. 암컷은 수컷보다 크고, 흰 띠의 폭이 넓은데, 수컷에서는 이 부분이 노란데 비해 암컷에서는 희다.  

생물학적 특성

설악산과 오대산의 침·활엽수가 모두 있는 천연림에 가까운 숲에 산다. 수컷은 오전 중 절 마당과 주차장, 도로 등에서 날개를 펴고 앉아 일광욕을 하고, 주위의 썩은 과일이나 동물의 배설물에 모인다. 10m 이상의 높은 가지 끝에서 텃세 행동을 보인다. 암컷은 축축한 도로 위에 날아오거나 개망초와 어수리의 꽃에서 꿀을 빠는데, 이런 장면은 흔하지 않다. 7월 중순에서 8월 말 사이에 알을 낳는다. 암컷은 행동이 둔해 차에 부딪쳐 상하기도 한다(김·서, 2012).  

분포 현황

강원도 오대산과 설악산 등지에서 확인되고 있다(김·서, 2012).  

번식 현황

정보부족  

서식지 동향

정보부족  

개체수 현황

정보부족  

분류학적 특성

김성수 등. 2012. 한국나비분포도감. 국립산림과학원. 서울. 474pp. 김성수·서영호. 2012. 한국나비생태도감. 사계절출판사. 고양. 539pp. 김용식. 2002. 원색 한국나비도감. 교학사. 서울. 305pp. 박규택·김성수. 1997. 한국의 나비. 생명공학연구소·한국곤충분류연구회. 서울. 381pp. 석주명. 1970. 韓國産蝶類分布圖. 보진재. 서울. 517pp. 한국자연보존협회. 1981. 한국의 희귀 및 위기동식물. 1-29pp. Choi, S.W. and S.S. Kim. 2011. The past and current status of endangered butterflies in Korea. Entomological Science 1-12. Kim, C.W. 1976. Distribution atlas insects of Korea. (Series 1, Rhopalocera, Lepidoptera). Korea Univ. Press. Seoul. 200pp.  

국제 동향

정보부족  

위협 요인

지금까지 정밀한 조사와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남획이나 기후변화 등의 원인으로 개체수가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보존 현황

정보부족  

특기 사항

정보부족  

평가 결과

EN A1(a, d); C2a(i) 산지의 지속적인 산림화와 기후변화 등의 원인으로 서식지의 감소는 물론 서식지가 질적으로 저하되어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출현 범위가 매우 좁다(강원도 오대산과 설악산의 2개 지역). 따라서 EN A(a1, d); C2a(i)로 평가했다.  

참고문헌

정보부족  

영문초록

Seokia pratti is seen only on Mt. Odae and Mt. Sorak of Gangwon-do. It is the only species in Korea which feeds on a coniferous tree. Although its habitat is located within the boundary of a national park, excessive collecting is adding to the decline of this species.  
집필자 : 김성수(동아시아환경생물연구소), 배양섭(인천대학교)

홍줄나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