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허리왕잠자리

Boyeria maclachlani (Selys, 1883)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곤충Ⅲ
  • 분류체계
    • - 잠자리목(Odonata) 왕잠자리과(Aeshnidae)
  • KTSN : 자료없음
  • 적색 분류 : 취약(VU)
  • IUCN범주 : 자료없음

요약

하천 상류의 유속이 완만한 지역에 국지적으로 분포하며 생활사가 2년 1세대인 종으로 서식지 파괴 등에 의해 점차적으로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  

형태

몸길이는 40-45㎜로 대형이고 머리는 가로 폭이 넓고 세로로 좁으며 윗입술과 이마는 둥글게 돌출되었다. 뒷머리의 외각은 둥글고 뒤쪽으로 조금 늘어졌으며 모서리에 크고 날카로운 뿔 같은 돌기가 각각 1개씩 있다. 배는 굵고 등가시는 없으며 옆가시는 제4-9배마디에 있다. 제4배마디의 옆가시는 매우 작아 흔적 같고 제5배마디 옆가시부터 점차 커져 제9배마디의 것이 제일 크고 날카롭다. 상부속기가 하부속기보다 짧다.  

생물학적 특성

유충은 유속이 완만한 하천 상류의 물속 나무뿌리 혹은 식물 줄기에 서식한다. 알 상태로 월동하며, 봄에 부화해 성장한다. 중간 크기로 성장한 유충이 다시 월동해 이듬해 여름에 우화하는 생활사가 2년 1세대인 종이다. 암컷은 주로 하천의 썩은 나무나 이끼에 단독 산란한다.  

분포 현황

전국적으로 분포하나 국지적이고 개체수가 적으며 서식지가 협소해 잘 발견되지 않는 종이다.  

번식 현황

정보부족  

서식지 동향

정보부족  

개체수 현황

정보부족  

분류학적 특성

정보부족  

국제 동향

정보부족  

위협 요인

국지적으로 분포하며 하천 상류의 수생식물이 풍부한 지역에 제한적으로 서식하고,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분포 및 개체수의 감소가 예상된다.  

보존 현황

정보부족  

특기 사항

정보부족  

평가 결과

VU A2ac; B2ab(ii) 개체군의 국지적 분포와 개체수의 감소 경향 등을 고려해 VU A2ac; B2ab(ii)로 평가했다.  

참고문헌

국립환경과학원. 2000-2008. 전국자연환경조사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환경부.
배연재, 이병훈. 2001. 한국 하천생태계의 환경 훼손과 담수 절지동물의 생물다양성 피해 및 보전. 한국곤충학회지 31(2): 63-76.
배연재, 이혜영. 2012. 한국의 곤충 제4권 2호 잠자리류. 환경부. 81pp.
윤일병. 1988. 한국동·식물도감 제30권 수서곤충류. 문교부. 840pp.
윤일병. 1995. 수서곤충검색도설. 정행사. 262pp.
정광수. 2012. 한국의 잠자리. 자연과 생태. 272pp.
정광수. 2011. 한국 잠자리 유충. 자연과 생태. 399pp.  

영문초록

Boyeria maclachlani is locally distributed in upstream of rivers. The numbers of population and individuals are gradually decreasing because of the destruction of habitats.  
집필자 : 윤태중(고려대학교 한국곤충연구소), 정광수(한국잠자리연구소), 배연재(고려대학교)

개미허리왕잠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