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박이왕잠자리

Aeshna juncea (Linnaeus, 1758)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곤충Ⅲ
  • 분류체계
    • - 잠자리목(Odonata) 왕잠자리과(Aeshnidae)
  • KTSN : 자료없음
  • 적색 분류 : 준위협(NT)
  • IUCN범주 : 자료없음

요약

한반도 중·북부 산지 습지에 주로 분포하며 생활사가 2년 1세대인 종으로 서식지 감소와 지구온난화가 주위협 요인이다.  

형태

몸길이는 36-39㎜. 몸은 작고 홀쭉하며 갈색 또는 암갈색 바탕에 얼룩무늬가 있다. 배의 등면에 넓은 세로줄무늬가 한 쌍 있다. 앞가슴은 폭이 넓고 앞가슴기절에 있는 돌기가 돌출되었다. 배의 옆가시는 제6-9배마디에 있으며 매우 작다.  

생물학적 특성

고도가 높은 한랭한 지역의 습지와 연못에 주로 서식한다. 2년 1세대로 첫 해에는 알로 월동하고 다음해에는 유충으로 월동한다. 성충은 8-10월에 관찰되며 식물 조직 내에 단독 산란한다.  

분포 현황

한반도 중·북부지방 산지 습지에 주로 분포한다.  

번식 현황

정보부족  

서식지 동향

정보부족  

개체수 현황

정보부족  

분류학적 특성

정보부족  

국제 동향

정보부족  

위협 요인

산지 습지의 전반적인 감소로 인한 서식지 감소와 북방계열의 잠자리로서 지구온난화 등이 위협 요인이다.  

보존 현황

정보부족  

특기 사항

정보부족  

평가 결과

NT 한반도 중·북부지역에 국지적으로 분포하며 산지 습지의 지속적인 감소로 인한 서식지 파괴와 지구온난화로 인한 개체군 감소 등을 고려해 NT로 평가했다.  

참고문헌

국립환경과학원. 2000-2008. 전국자연환경조사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2008. 수생태 건강성 조사 및 평가사업. 환경부.
김정환. 1998. 한국의 잠자리, 메뚜기, 사마귀, 대벌레(원색도감). 교학사. 472pp.
배연재, 이병훈. 2001. 한국 하천생태계의 환경 훼손과 담수 절지동물의 생물다양성 피해 및 보전. 한국곤충학회지 31(2): 63-76.
배연재, 이혜영. 2012. 한국의 곤충 제4권 2호 잠자리류. 환경부. 81pp.
윤일병. 1988. 한국동·식물도감 제30권 수서곤충류. 문교부. 840pp.
윤일병. 1995. 수서곤충검색도설. 정행사. 262pp.
정광수. 2012. 한국의 잠자리. 자연과 생태. 272pp.
정광수. 2011. 한국 잠자리 유충. 자연과 생태. 399pp.  

영문초록

Aeshna juncea is found in mountainous wetlands of the central and northern parts of Korean peninsula. Habitat destruction and global warming are leading to the decline of this species.  
집필자 : 윤태중(고려대학교 한국곤충연구소), 정광수(한국잠자리연구소), 배연재(고려대학교)

별박이왕잠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