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강원도와 경상남도 극히 일부 지역에만 국지적으로 확인된다. 서식지는 바위가 많은 풀밭지대인데, 최근 나무가 무성해지면서 서식지의 범위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II급이다.

형태
날개 편 길이는 65-75㎜이다. 더듬이는 호랑나비과중에서 짧은 편이고 검다. 날개 윗면은 흰색 바탕이지만
막 우화한 개체는 노란색을 머금고 있다. 앞날개 중실과 뒷날개 제5실과 7실에 검은 원 무늬가 있는데, 앞날개에서는 검은색이고, 뒷날개에서는 테두리만 검고 속은 붉은색을 채워진다. 이밖에 뒷날개 기부에도 붉은 무늬가 나타난다. 중횡대와 외횡대에는 검은 띠가 희미하게 있다. 날개 윗면보다 아랫면에서 붉은 점이 더 짙다. 또 암컷이 수컷보다 바탕색이 짙으며, 붉은 점이 더 짙다.

생물학적 특성
산지나 평지의 나무가 별로 없는 장소에서 산다. 암석으로 이루어진 양지 바른 곳에서 오전에 활발하게 낮게 날아다닌다. 수컷은 이따금 산 정상까지 날아오르지만 특별한 나비길을 만들지 않는다. 암수 모두 엉겅퀴와 기린초 등에서 꽃 꿀을 빤다. 모시나비처럼 짝짓기를 할 때, 수컷은 암컷의 배 끝에 짝짓기주머니를 만들어 붙인다. 암컷은 먹이식물 부근을 잘 떠나지 않으며, 그 주위의 마른 잎이나 줄기, 돌 등에 알을 하나씩 낳아 붙인다(김·서 , 2012).

분포 현황
강원(삼척)과 경상남북도 일부 지역에 분포한다(김·박, 2001; 김·서, 2012).

번식 현황
정보부족
서식지 동향
정보부족
개체수 현황
정보부족
분류학적 특성
김성수 등. 2012. 한국나비분포도감. 국립산림과학원. 서울. 474pp.
김성수·서영호. 2012. 한국나비생태도감. 사계절출판사. 고양. 539pp.
김용식. 2002. 원색 한국나비도감. 교학사. 서울. 305pp.
박규택·김성수. 1997. 한국의 나비. 생명공학연구소·한국곤충분류연구회. 서울. 381pp.
석주명. 1970. 韓國産蝶類分布圖. 보진재. 서울. 517pp.
한국자연보존협회. 1981. 한국의 희귀 및 위기동식물. 1-29pp.
Choi, S.W. and S.S. Kim. 2011. The past and current status of endangered butterflies in Korea. Entomological Science 1-12.
Kim, C.W. 1976. Distribution atlas insects of Korea. (Series 1, Rhopalocera, Lepidoptera). Korea Univ. Press. Seoul. 200pp.

국제 동향
정보부족
위협 요인
지금까지 정밀한 조사와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최근 나무가 무성해지면서 서식지인 풀밭의 범위가 급격히 감소한 것이 최대 위협 요인으로 보인다. 이와 더불어 이 나비의 관상 가치가 높아 이를 수집하기 위해 남획의 대상이 된 것도 이 종의 위협 요인이었다고 본다.

보존 현황
멸종위기야생동물 II급으로 지정·관리하고 있다.

특기 사항
정보부족
평가 결과
VU A1(a, d) 경남 일부 지역과 강원도 삼척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산지의 산림화가 가속화해 초지가 축소되는 경향을 볼 때, 현재의 개체군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VU A1(a, d)로 평가했다.

참고문헌
정보부족
영문초록
Parnassius bremeri is a rare species in South Korea. Its habitat is rocky grassland, which is rapidly dwindling due to the overgrowth of surrounding trees.
집필자 : 김성수(동아시아환경생물연구소), 배양섭(인천대학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