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꼬리딱새(삼광조)

Terpsiphone atrocaudata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조류
  • 영명 : Black Paradise Flycatcher
  • 분류학적 위치
  • KTSN : 120000001951
  • 적색 분류 : 취약(VU)
  • IUCN범주 : 준위협(NT) 평가방법 보기
  • 지정 현황
    • -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Ⅱ급

요약

희귀한 여름철새이며, 한반도 전역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주로 남부 도서지역에서 번식한 기록이 있다. 겨울에는 중국 동부와 대만을 거쳐 중국남부, 말레이반도, 수마트라 등지에서 월동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취약종(VU)으로 평가했다.  

형태

이 종의 수컷은 백색형과 밤색형 두 종류가 있다. 백색형의 겨울깃은 이마에서 뒷머리까지 푸른색 금속광택이 있는 검은색이며, 머리꼭대기 깃털은 관모양을 형성한다. 기타 몸 윗면은 흰색이지만 검은색의 깃 가장자리가 있어서 회색빛으로 보인다. 머리 옆, 목옆, 턱밑, 턱 아래 부위는 푸른색의 금속광택이 있는 검은색이다. 몸 아랫면은 흰색이다. 밤색형은 부리와 눈테는 파란색이며, 머리 전체, 목옆, 앞목은 금속광택이 강한 어두운 푸른색이다. 등과 어깨는 다소 자색 광택이 있는 붉은 밤색을 띤다. 암컷의 겨울깃은 머리 부분이 푸른색 광택이 있는 검은색으로 수컷보다 왕관모양의 깃이 짧다.  

생물학적 특성

비교적 낮은 산의 어두운 숲에 서식한다. 둥지는 큰 나무의 작은 가지에 나무껍질을 주재료로 해서 컵모양으로 만든다. 알 낳는 시기는 5-7월이다. 알은 흰색이나 장밋빛 바탕에 붉은 갈색과 엷은 자주색 얼룩점이 있으며, 3-5개 낳는다.  

분포 현황

우리나라 전역에서 번식하며, 특히 제주도 및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한다.  

번식 현황

제주도, 거제도, 함평군 등 활엽수림이 분포하는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번식한다. 과거에는 전국적으로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원, 1981), 최근에는 제주, 경상남도 거제도, 남해안의 도서지역에 도래해 번식하고 있다.  

서식지 동향

인공 조림지, 잡목림, 낙엽활엽수림에 서식한다. 물이 있는 저지대나 계곡이 있는 활엽수림 지역을 선호한다.  

개체수 현황

2004년 제주도 서귀포에서 8개체, 2005년 금오도, 2006년 진안군에서 1개체, 2008년 부산, 진해지역에서 5개체를 관찰한 기록이 있다. 도래 개체수는 50개체 정도로 추정되지만, 정밀조사가 수행되면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2009년 홍도에서 2개체를 관찰한 기록이 있으며, 2009년 제주도에 12쌍, 함평에 1쌍이 번식한 기록이 있다(환경부 2005-2008; 김 등 2010).  

분류학적 특성

정보부족  

국제 동향

일본과 한국에서 번식한다. 겨울에는 중국 동부와 대만을 거쳐 중국 남부, 말레이반도, 수마트라 등지에서 월동한다. 최근에 국제적으로 개체수가 감소해 멸종위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위협 요인

기온변화와 각종 개발에 따른 서식지 파괴로 개체수가 점차 감소하고 있다. 개체수와 개체군수도 매우 적어 인위적인 요인에 의해 멸종위기에 처하게 될 것으로 예측된다.  

특기 사항

환경부 멸종위기 Ⅱ급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평가 결과

VU A1c 우리나라 전역에 서식하지만 최근 제한적으로 번식지가 확인되고 있다. 골프장 건설, 도로개설 등 인위적 또는 자연적 요인 등에 의해 서식지가 훼손되어 우리나라에 멸종위기에 처하게 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IUCN 적색목록 기준에 따라 취약종(VU) A1c으로 평가했다.  

참고문헌

IUCN. 2010.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www.iucnredlist.org
del Hoyo, J., A. Elliott and Christie, D.A. eds. 2006.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 11. Lynx Edicions, Barcelona. 798pp.
국립공원관리공단. 2009 조류 조사·연구 결과 보고. 국립공원연구원 철새연구센터.
김영호, 오홍식, 장용창, 최수산. 2010. 삼광조(Terpsiphone atrocaudata)의 둥지 장소 선택 환경. 한국조류학회지 17(1): 11-19.
박진영. 2002. 한국의 조류 현황과 분포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원병오. 1981. 한국동식물도감-제25권 동물편(조류생태). 문교부. 1,126pp.
이우신, 구태회, 박진영. 2000. 야외원색도감 한국의 새. LG상록재단. 320pp.
환경부. 2005-2008. 전국자연환경조사.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영문초록

Terpsiphone atrocaudata is very rare, and many breed on Jeju Island. They food is Insects. Breeding season late May to Aug. It was migrates from Japan, East China, North part of Thailand and Peninsular Malaysia to non-breeding grounds in south Thailand, Peninsular Malaysia and Sumatral. Not globally threatened. Currently considered Near-threatened. It meets the criteria for VU A1c.  
집필자 : 채희영(국립공원철새연구센터), 강태한(한국환경생태연구소)

긴꼬리딱새
긴꼬리딱새
최순규
긴꼬리딱새
최순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