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머리촉새

Emberiza aureola Pallas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조류
  • 영명 : Yellow-breasted Bunting
  • 분류학적 위치
  • KTSN : 120000002225
  • 적색 분류 : 취약(VU)
  • IUCN범주 : 취약(VU) 평가방법 보기

요약

주로 5월과 9월에 한국을 통과하며, 멧새과의 다른종에 비해 작은 집단이 지나간다. 숲과 농경지, 갈대밭 등에서 주로 관찰되며, 통과시기에 따라 관찰되는 개체군수가 적어 우리나라에서는 취약종(VU)으로 평가했다.  

형태

수컷은 얼굴과 멱이 검은색이고 배는 선명한 노란색이다. 가슴에는 갈색 띠가 있다. 이마, 머리꼭대기에서부터 등, 허리는 갈색이다. 등에는 검은색 줄무늬가 있다. 옆구리에는 어두운 갈색 줄무늬가 있다. 날개에는 선명한 흰색 띠가 두 줄 있다. 암컷은 눈썹선과 배는 연한 노란색이며 옆구리에 어두운 갈색 줄무늬가 있다(이 등 2000).  

생물학적 특성

여름에는 암수가 함께 생활하며 대개 군서 생활을 하지 않는다. 초지나 관목 초지 속 또는 숲속 초지의 땅 위에 둥지를 짓는다. 둥지는 키 작은 나무의 뿌리 근처에 마른 풀, 화본과 식물의 가느다란 풀줄기, 가는 뿌리 등으로 밥그릇처럼 오목한 둥지를 만든다. 번식기는 5월 하순에서 7월 중순이며, 한 번에 알 4-5개를 낳는다. 구북구의 동부 및 중부, 동남아시아의 열대 저지대에서 겨울을 지내며, 바닥에는 거의 내려오지 않는다(원 1981; 이 등 2000; 이와 이 2009).  

분포 현황

한국의 전역에 분포하며, 이동 시기에는 농경지, 하천가, 갈대밭, 인가 부근의 소림, 구릉, 활엽수 및 혼효림 숲속 등 도처에서 눈에 띈다.  

번식 현황

봄가을에 통과하는 철새로 국내 번식기록이 없다.  

서식지 동향

흔히 땅 위에서 먹이를 찾으며 때로는 관목, 교목, 잡초의 이삭 끝에 앉기도 한다. 초지나 관목 초지 속 또는 숲속초지의 땅 위에 둥지를 튼다.  

개체수 현황

1961-1963년 서울시 부근에서 9-10월에 80여 개체가 넘는 많은 수를 채집한 기록이 있으며(박 2002), 1993년 강화도, 영종도, 제주도에서 61개체, 1996년 천수만에서 1개체, 1997년 독도에서 1개체, 1998년 백령도와 대청도에서 8개체, 1999년 동진강에서 12개체, 2000년 천수만, 흑산도, 가거도에서 179개체, 2001년 천수만, 강화도에서 4개체, 2006년 서산, 근흥, 만리포 지역을 중심으로 56개체, 2007년에는 대청도에서 2개체, 2008년 연천등지에서 8개체를 관찰한 기록이 있다(박 2002; 환경부 2006-2009).  

분류학적 특성

정보부족  

국제 동향

캄차카 반도, 오호츠크해 연안, 아무르지역, 샨타르 섬, 만주, 사할린, 쿠릴열도, 홋카이도 등지에서 번식한다. 만주, 한국, 중국 동부를 거쳐 이동 남하해 중국 남부,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월동한다(원 1981).  

위협 요인

기온변화와 각종 개발에 따른 서식지 파괴로 개체수가 점차 감소하고 있다.  

특기 사항

국제적으로 2004년에는 준위협종(NT)이었으나 개체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해 2008년부터 취약종(VU)으로 분류되었다(IUCN, 2010).  

평가 결과

VU A1c 봄가을 이동 시기에 잠시 관찰되는 종으로, 관찰시기에 따라 개체수의 변화가 크고 소수의 집단이 관찰되고있어 우리나라에도 IUCN의 적색목록 분류 기준에 따라 취약종(VU) D(1)으로 평가했다.  

참고문헌

IUCN. 2010.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www.iucnredlist.org
박진영. 2002. 한국의 조류 현황과 분포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우신, 구태회, 박진영. 2000. 야외원색도감 한국의 새. LG상록재단. pp.264.
원병오. 1981. 한국동식물도감-제25권 동물편(조류생태). 문교부. 1,126pp.
환경부. 2006-2008. 전국자연환경조사.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영문초록

Emberiza aureola breeds in wet meadows with tall vegetation and scattered scrub, riverside thickets and secondary scrub across the northern Palearctic. Its range includes Finland, Belarus and Ukraine in the west, through Kazakstan, China and Mongolia, to far eastern Russia, Korea and northern Japan. In the autumn, birds stop-over in large numbers to moult in the Yangtze Valley, China before continuing on to their winter quarters. It winters in large flocks in cultivated areas, rice fields, reedbeds and grasslands throughout a relatively small area in southern and south-east Asia which includes eastern Nepal, northeast India, Bangladesh, Myanmar, southern China, Cambodia, Laos, Vietnam and Thailand. Food includes small invertebrates. Breeding season late May to Jul. World population is gradually decreased. It meets the criteria for VU D(1).  
집필자 : 채희영(국립공원철새연구센터), 이한수(한국환경생태연구소)

검은머리촉새
검은머리촉새
최순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