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우

Vulpes vulpes peculiosa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포유류
  • 영명 : Red Fox
  • 분류학적 위치
  • KTSN : 120000212944
  • 적색 분류 : 위기(EN)
  • IUCN범주 : 관심대상(LC) 평가방법 보기

요약

개과에 속하는 포유동물로 소형 동물이나 조류를 섭취하는 잡식성이다. 과거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했으나, 무분별한 수렵과 살서제에 의한 2차 피해로 한반도에서는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형태

개과의 동물 중 중형에 속하고, 개과의 다른 동물과 달리 몸통의 길이에 비해 꼬리가 굵고 긴 편이다. 주둥이 부위는 가늘고 예리하다. 머리와 몸통의 길이는 600-780㎜, 꼬리 길이 400-470㎜, 뒷발 120-180㎜, 귀 길이 70-90㎜이다. 입과 코는 가늘고, 귀는 크며 직립되어 있다. 다리는 길고 가는 편이다. 털은 짙은 갈색에서 붉은색이며, 귀의 뒷면과 발등 부분은 검은색이다. 수컷이 암컷에 비해 조금 큰 편이다.  

생물학적 특성

잡식성으로 우제류, 설치류, 조류, 조류의 알, 개구리, 물고기, 식물의 열매, 곤충 등 다양하게 섭식한다. 자연생태계에서는 설치류 군집 조절자 역할을 하기도 한다. 산지의 숲, 초원, 마을 부근 등에 있는 바위틈이나 흙으로 된 굴에서 생활하며, 굴을 파기도 하고 다른 동물의 굴을 빼앗아 이용하기도 한다. 수컷은 단독 생활을 하며, 암컷은 가족군집 생활을 한다. 평균 수명은 6-10년이며, 야생에서의 최장 수명은 15년 정도이다. 임신 기간은 50-60일, 새끼는 4-6마리를 낳으며, 성적 성숙기는 9-11개월, 발정기는 1-2월이며, 암컷의 출산 시기는 3-5월이다.  

분포 현황

전 세계적으로 여우는 12여 종이 분포하며, 우리나라 여우인 Vulpes vulpes는 남동부 열대 지역을 제외한 유라시아 대륙, 북부 아프리카, 그리고 캐나다와 미국의 대부분 지역에 이르기까지 가장 널리 서식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와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각지에 분포했으나 1980년 이후 멸종된 것으로 알려졌다.  

번식 현황

정보부족  

서식지 동향

산림 생태축 단절로 서식지가 파괴되고 있다. 기타 여우에 관한 국내 서식지 현황 자료는 없다.  

개체수 현황

1960년대까지 인가 주변에서 자주 관찰되었던 동물이나 무분별한 포획 및 쥐 박멸 운동에 따른 2차 중독으로 1980년 이후 남한의 자연생태계에서는 멸종된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2004년 강원도 양구에서 수컷 사체가 발견되어 강원도 일부 산악지대를 중심으로 소수의 개체가 서식하고 있을 것으로 추측한다.  

분류학적 특성

식육목(Carnivora) 개과(Canidae) 여우속(Vulpes)에 속하며, 세계적으로 북극여우(Arctic fox)를 포함해 12여종으로 분류한다. 여우는 세계적으로 지리적 기준에 의해서 48아종 또는 44아종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여우는 Vulpes vulpes peculiosa로 분류한다.  

국제 동향

정보부족  

위협 요인 및 보호대책

야생 개체에 대한 불법 포획을 막고 산림 생태축 단절에 따른 서식지 단편화를 막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또한 자연 개체군 서식 확인을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적극적인 종 복원을 위한 장기적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  

특기 사항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동물 Ⅰ급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2012년).  

평가 결과

EN* A2(a,d); B2ab(iv); D1 1960년대까지 완전히 제거된 것으로 알려졌다가, 2004년 강원도 양구에서 사체가 발견되어, 국내에서 서식할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정확한 서식지 현황은 알려지지 않았다. 기준 A2(a,d); 2ab(iv); D1에 의해 위급으로 간주되나, IUCN에서는 관심대상으로, 중국에서는 준위협으로 평가해 한 단계 하향 조정했다.  

참고문헌

국립공원관리공단국립공원연구원. 2010. 여우종 복원을 위한 서식지 및 환경특성 조사. 국립공원관리공단.
김정호. 1999. 경상북도 지역의 포유류 분포. 동국대학교 이학석사학위 논문.
신남식, 윤희정, 유병호, 양병국, 권수완, 주승진, 용완율, 어경연. 2009. 환경부 차세대 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 보고서(토종여우의 인공증식 및 자연생태계 복원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환경부.
윤명희, 한상훈, 오홍식, 김장근. 2004. 한국의 포유동물. 동방미디어.
이정일. 1989. 경상북도 포유동물 분포에 관한 기초 연구. 동국논집 8: 385-419.
이정일. 1993. 강원도 포유동물의 분포 밀도에 관한 기초 연구. 동국논집 12: 49-78.
환경부. 2006. 멸종위기야생동·식물 증식·복원 종합계획(2006-2015). 환경부.
Macdonald, D. W. and J. C. Reynolds. 2008. Vulpes vulpes. In: IUCN 2011.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1.2.
Won, C. 1996. Mammals of Korea: Current status and zoogeography. Ph.D dissertation of University of Arkansas.  

영문초록

Vulpes vulpes was distribute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he side effect of catching of mice since 1980 was one of main threatening factors for its extinction . In 2004, only one individual was found as dead in Kangwon.  
집필자 : 오홍식(제주대학교)

여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