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마을 주변, 경작지, 산림지역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한다. 최근 밀렵 등에 의해 개체수가 급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형태
몸 색깔은 변이가 심하지만, 보통 바탕색은 녹색을 띠고 붉은색 점무늬가 산재해 있다. 몸통에는 강한 용골이 있으며, 턱 뒤쪽에 2-3mm의 독니가 있다(김과 송 2010).
생물학적 특성
주로 4-5월부터 관찰되기 시작하며 하천 주변, 경작지, 초지, 산림지역 등 다양한 곳에 서식한다. 먹이는 개구리류나 설치류 등을 잡아먹고 생활을 하며 낮에 많이 활동한다. 짝짓기는 보통 9-10월에 이루어지며, 이듬해 6-7월에 덤불 속이나 풀 속에 10-30개의 알을 낳는다. 알은 타원형으로 약 40mm×25mm 크기이며, 부화까지 30-40일 소요된다. 과거에는 독이 없는 종으로 알려졌으나 머리 뒤쪽으로 독니가 있으며, 위협을 느낄 경우 몸을 세우고 방어 자세를 취하거나 죽은 척하는 습성이 있다(송 2007).
분포 현황
전국적으로 분포한다(Slevin 1925; Shannon 1956; Szyndlar and O. 1987; 송 2007).
번식 현황
정보부족
서식지 동향
하천, 경작지, 초지, 산림지역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하며, 봄철에는 저지대 수로, 하천 주변에서 서식하고 여름철이 되면 산림지역으로 이동해 생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개체수 현황
다른 뱀들에 비해 개체수가 풍부한 편이지만,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분류학적 특성
Maki는 한국산 유혈목이(R. t. lateralis)를 중국산과 동일한 종으로 취급하고, 일본산 R. t. tigrinus와 구별된다고 보고했다. 今泉은 복판과 미하판의 총수를 기준으로 해 중국산과 북한산을 R. t. laeralis로 동정하고 한국남부산을 R. t. tigrinus로 동정해 한국에는 2아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했다. 中村, 上野은 미하판수가 북방의 개체군에서 남방의 개체군으로 연속해서 증가하고 그 사이에 급격한 변화를 일으키는 지대가 없음으로 일본산과 대륙산 사이에 결정적인 차이가 없어 R. t. lateralis를 R. t. tigrius의 동종이명으로 정리했다(백 1982).
국제 동향
중국, 일본, 러시아 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위협 요인 및 보호대책
화사, 석화사 등으로 불리며, 밀렵에 의해 개체수가 크게 줄어들고 있다.
특기 사항
본 종은 마을이나 산림지역에서 흔히 발견되는 종이나 최근 밀렵으로 개체수가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평가 결과
LC 본 종은 제주도를 포함해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다수의 개체군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현재 멸종위기에 직면한 종은 아니지만 밀렵 등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참고문헌
김종범, 송재영. 2010. 한국의 양서파충류. 워드사이언스.
송재영. 2007. 한국산 파충류의 현황과 분포. 환경생물. 25(2): 124-138.
백남극. 1982. 한국산 사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Shannon FA. 1956. The reptiles and amphibians of Korea. Herpetologica. 12: 22-49.
Slevin JR. 1925. Contributions to oriental herpetology Ⅱ. Korea or Chosen. Cal. Acad. Sci. 115(5): 89-100.
Szyndlar Z and HD O. 1987. Reptiles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Part Ⅰ. Serpentes. Chinese Herpeol. Res. 22-59
영문초록
It is easy discovering this snake in nature because this species live various environment such as village side, grass area, forest, but the individuals of this snake are decreasing through poaching, habitat destruction.
집필자 : 송재영(국립공원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