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끼도롱뇽

Karsenia koreana Min, Yang, Bonett, Vieites, Brandon & Wake, 2005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양서류
  • 영명 : Korean Crevice Salamander
  • 분류학적 위치
  • KTSN : 120000001368
  • 적색 분류 : 취약(VU)
  • IUCN범주 : 관심대상(LC) 평가방법 보기

요약

한국 고유종으로 주로 산림이 잘 보존되어있는 산림지역의 바위 밑이나 고목 아래에서 주로 발견된다.  

형태

미주도롱뇽과에서 독특하게 나타나는 주둥이 정 가운데에 홈이 파인 특징이 있다. 몸통의 등은 주로 짙은 흑갈색 또는 주황색이며, 꼬리 쪽으로 갈수록 주황색이 짙어진다. 일부 개체들은 등에 짙은 주황색을 띠거나 붉은 갈색, 또는 황갈색 띠 형태가 나타난다. 배는 회색이 강한 편이다. 몸통 옆주름은 14-15개이며, 머리는 둥근 편이다. 눈은 작으며 많이 튀어 나왔고 네 발은 가늘고 발가락들은 짧으며, 아주 약간 물갈퀴화 된 경향이 있다. 꼬리는 가늘고 둥근 편이며, 꼬리길이는 몸통길이와 거의 같거나 약간 길다. 수컷과 암컷은 외형적으로 구분이 어려우나, 총배설강이 뚜렷하게 다르다.  

생물학적 특성

최근 새로운 종으로 기재되어 이들에 대한 생태학적 정보가 많지 않은 상태이다. 이들은 주로 산림지역의 이끼가 낀 돌 밑이나 고목 아래에서 주로 1-2개체씩 발견되며, 육상생활에 적응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발견될 때 행동은 민첩한 편이다. 아직 이 종에 대한 번식 생태에 관한 정보는 없다.  

분포 현황

원기재 지역인 대전의 장태산을 비롯해 충청북도(속리산, 월악산, 청원일대), 충청남도(계룡산, 대둔산일대), 전라북도(진안, 완주, 무주-덕유산일대), 전라남도(내장산일대), 경상남도(가야산일대) 등지에 비교적 넓게 분포하나 서식 개체수는 많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번식 현황

정보부족  

서식지 동향

서식지가 주로 산림이 잘 보존되어 있는 산간 지역으로 사람 눈에 잘 띄지 않은데, 산림이 훼손되면 급격하게 감소할 가능성이 높다.  

개체수 현황

서식 개체수는 불분명하지만 충청도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집단을 이루는 개체수는 그리 많지 않다.  

분류학적 특성

2005년 아시아에서는 처음으로 미주도롱뇽과에 속하는 종으로 발견되어 신속(Karsenia) 신종(koreana)으로 기재되었는데, 진화적으로 매우 중요한 종이다. 이끼도롱뇽에 대한 연구로는 mtDNA와 핵DNA 분석을 통한 분자계통 분석을 비롯해 염색체와 형태 분석 등이 미주도롱뇽과에 속하는 타 종들과 비교 연구된 바 있다(Min et al. 2005; Vieites et al. 2007; Stanley et al. 2008). 염색체수는 2n=28이다.  

국제 동향

한국 고유종이다.  

위협 요인 및 보호대책

지금까지 정밀한 생물학적 조사 및 평가가 수행된 바는 없지만, 기본적으로 서식지 파괴가 개체수 감소로 이어지게 하는 최대 위협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특기 사항

아시아에서는 처음으로 발견된 미주도롱뇽과에 속하는 종으로 생물지리학뿐만 아니라 계통진화적인 측면에서 아주 중요한 종이다.  

평가 결과

VU C2a(i) 출현범위가 20,000km2 이하이며, 발견되는 집단의 개체수가 크지 않고 성숙한 개체수가 10,000개 이하이며, 가장 큰 아개체군의 성숙한 개체수가 1,000개체 이하로 추정되므로 VU C2a(i)로 평가했다. IUCN에서는 LC로 평가했다.  

참고문헌

Min, MS. 2005. Taxonomic Status and Biological Study of Korean Amphibians The 60th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Biological Sciences.
Min, MS, Yang SY, Bonett RM, Vieites DR, Brandon RA and DB Wake. 2005. Discovery of the first Asian Plethodontid salamander. Nature 435:87-90.
Sessions SK, St?ck M, Vieites DR, Quarles R, Min MS and DB Wake. 2008. Cytogenetic analysis of the Asian Plethodontid salamander, Karsenia koreana: Evidence for karyotypic conservation, chromosome repatterning, and genome size evolution. Chromosome Research 16(4):563-574.
Vieites DR, Min MS, and DB Wake. 2007. Rapid diversification and dispersal during periods of global warming by Plethodontid salamander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SA 19903-19907.  

영문초록

This species is originally distributed in southern to midwestern of south Korea, where it is found in several national parks and recreational forest including Jangtae-san, Songri-san, Naejang-san, Weolak-san, Gyeryong-san, and Daedun-san with relatively small population size. Although this species has no significant known threats, small population size in wild put this species into VU.  
집필자 : 민미숙(서울대학교)

이끼도롱뇽
이끼도롱뇽
이상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