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라

Pelodiscus sinensis (Wiegmann, 1835)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파충류
  • 영명 : Chinese Softshell Turtle
  • 분류학적 위치
  • KTSN : 120000059460
  • 적색 분류 : 취약(VU)
  • IUCN범주 : 취약(VU) 평가방법 보기

요약

자라는 강이나 저수지에 주로 서식한다. 야행성으로 주로 물속에서 지내며 낮에는 강이나 하천 내에 위치하는 돌 위에서 일광욕하는 개체도 관찰된다. 여름에 강가의 모래밭으로 나와 구덩이를 파고 알을 15-50개 낳는다. 지금은 사람에 의해 강가 모래가 채취되면서 알 낳을 곳이 사라지고, 음식 및 약재의 원료로 사용되면서 불법 포획에 의해 개체수가 많이 감소했다.  

형태

자라는 다른 민물거북과 다르게 등갑이 연하며, 목이 상당히 긴 편이고 주둥이 끝이 길게 돌출되어 있다. 네 다리는 크고 짧으며, 앞·뒤 다리의 발가락 사이에는 물갈퀴가 특히 잘 발달되어 있다. 꼬리는 매우 짧아 등갑 밖으로 잘 드러나지 않는다. 등갑을 포함한 전체 체색이 회갈색이고, 배갑은 연한 황색이나 백색이다(강과 윤 1975; 김과 송 2010).  

생물학적 특성

야행성으로 주로 갑각류, 연체동물, 곤충, 어류, 양서류 등을 잡아먹는 육식성 동물로 알려져 있다. 10월부터 3월까지 모래 속에 숨어서 겨울잠을 자고, 4월부터 활동을 시작해 짝짓기한다. 5월에서 8월에 모래를 파고 3-5회에 걸쳐 각각 15-50개의 알을 낳는다. 알은 약 50일 지나면 부화한다(강과 윤 1975; 김과 송 2010; 심 2001).  

분포 현황

내장산국립공원, 덕유산국립공원, 태안해안국립공원, 금산, 금오산, 만덕산, 방어산, 불모산, 삼방산, 영취산, 운악산, 작대산, 집현산, 황아산 등 전국적으로 하천과 강, 호수 등지에 살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송 2007).  

번식 현황

정보부족  

서식지 동향

야행성이며, 주로 물속의 진흙에서 서식하기 때문에 서식지 동향을 확인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관련된 자료가 매우 부족하다. 하지만 남생이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주 발견되던 자라가 최근에는 발견이 쉽지 않은 점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서식지 및 개체수가 이전에 비해 확연히 감소한 것으로 생각된다(Lee and Park 2010).  

개체수 현황

전국적인 개체수 변화에 대한 연구는 없으나, 최근의 조사에서 자라의 야생 개체를 확인하는 것이 쉽지 않고, 비록 개체가 확인되는 지역에서도 소수의 개체만이 확인되는 점으로 보아 최근 전국적으로 개체수가 많이 감소한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자라의 경우는 음식의 재료 및 한약재로 이용되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양식이 진행 중에 있어, 국내의 자라 개체수는 어느 정도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Lee and Park 2010).  

분류학적 특성

1835년 아프리카 지역의 softshell turtle (Trionyx)속의 Trionyx sinensis로 Wiegmann에 의해 최초 기재되었다. 이후 많은 분류학적 연구를 통해 다양한 속과 종으로 구분되어 왔으나, 현재의 학명인 Pelodiscus sinensis로 명명된 것은 비교적 최근인 1998이다(Cox at al. 1998).  

국제 동향

홍콩을 포함하는 중국, 일본, 대만, 베트남, 러시아 극동지역에 분포하며, 태국, 미국, 괌, 인도네시아에 도입되었다.  

위협 요인 및 보호대책

최근의 하천 개발로 하천 바닥의 구조가 변하고 모래와 자갈 채취 등으로 산란장소가 붕괴되어 첨차 줄어들고 있다. 또한 보신용으로 남획되어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해, 주변에서 쉽게 관찰하기 어렵다. 중국의 경우에는 등록되어 있는 자라 농장이 전국적으로 684개에 이르지만 매년 수백만 마리가 팔리고 있는 실정이어서, 공급에 한계가 있다(IUCN 2010). 이 때문에 주변의 야생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처럼 최근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환경오염 등의 이유로 서식지가 감소하고 있으나, 자라의 습성상 조사가 용이하지 않은 이유로 그 현황조차 파악되지 않고 있다. 때문에 야생 개체에 대한 전국적인 서식지 및 개체수 조사가 시급한 실정이다.  

특기 사항

중국 등의 동아시아 국가에서 대규모의 양식이 진행되고 있는데도 매년 엄청난 수의 개체를 음식 및 약재로 이용하기 때문에 야생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고 이 때문에 IUCN 취약종(Vulnerable)으로 분류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와 유사한 이유로, 포획금지야생동물, 먹는자처벌대상야생동물(환경부) 등으로 지정·보호되고 있다.  

평가 결과

VU B1ab(i) 국내에서 양식되고 있지만, 야외개체군의 경우 출현범위 20,000km2 이하로 계속적인 개체군의 감소가 예상되므로 VU B1ab(i)로 평가했다.  

참고문헌

강영선, 윤일병, 1975. 한국 동?식물도감, 제 17권 동물편(양서?파충류). 문교부.
김종범, 송재영. 2010. 한국의 양서파충류. 월드사이언스.
송재영. 2007. 한국산 파충류의 현황과 분포. 환경생물학회지 25: 124-138.
심재한. 2001. 꿈꾸는 푸른 생명 거북과 뱀. 다른세상.
Asian Turtle Trade Working Group. 2000. Pelodiscus sinensis. In: IUCN 2010.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0.4. . Downloaded on 11 January 2011.
Cox, MJ, Dijk, PP, Nabhitabhata, J, and K Thirakhupt. 1998. A Photographic Guide to Snakes and Other Reptiles of Thailand, Peninsular Malaysia and Singapore. New Holland Publisher.
Lee, HJ and D Park. 2010. Distribution, habitat characteristics, and diet of freshwater turtles in the surrounding area of the Seomjin river and Nam river in southern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33: 237-244.
Wiegmann, AFA. 1835. Amphibien. In: FJF Meyen. Beitr?ge zur Zoologie, gesammelt auf einer Reise um de Erde. Nova Acta Physico-Medica Academia Caesarea Leopoldino-Carolina (Halle) 17 [1835]: 185-268d.
UNEP-WCMC. 2011. UNEP-WCMC Species Database: CITES-Listed Species On the World Wide Web: http://www.unep-wcmc.org/isdb/CITES/.  

영문초록

This species is originally distributed in Asian countries such as China, Russia, Korea, Japan, Taiwan, and Vietnam, but now also found in Thailand, Indonesia, and USA as an invasive species. This species is being designated as an vulnerable species by IUCN. In Korea, this species is found in several important rivers including Seom river, Nam river, and Bukhangang river with relatively small population size. Although there are dozens of commercial farming of this species in Korea, continuous decline in the field populations put this species into a VU.  
집필자 : 박대식(강원대학교)

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