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가시고기

Pungitius kaibarae (Tanaka, 1915)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 적색 목록집 권호 : 어류
  • 영명 : Short ninespine stickleback
  • 분류학적 위치
  • KTSN : 120000058007
  • 적색 분류 : 준위협(NT)
  • IUCN범주 : 자료없음

요약

낙동강의 일부 지역과 동해로 흐르는 하천에 서식한다. 물이 정체되고 수초가 밀생한 곳에서 주로 서식한다. 최근 수질오염, 하천개수공사 등으로 서식지가 급격히 감소했다.  

형태

체장은 5-6cm이며, 체형은 작하고 미병부는 매우 가늘다. 등지느러미 기조수 15-22개, 뒷지느러미 기조수 9-12개, 배지느러미 기조수 2-4개, 체측인판수 31-35개, 새파수 10-13개 및 척추골수 31-33개다. 아래턱과 위턱의 길이가 거의 같다. 등쪽에 날카로운 6-10개의 가시가 있고 배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에도 1개씩 있다. 각각의 가시는 분리되어 있고 뒷부분에 얇은 막이 붙어있다. 골질의 인판은 아가미덮개 뒤에서부터 꼬리 끝까지 1열로 배열되어 있다. 흉부의 인판이 가장 크다. 인판의 크기에는 개체군 간에 변이가 있는데 금호강 개체군이 가장 크고 형산강 개체군은 크기도 작을 뿐 아니라 퇴화되어가는 경향이 있다. 입의 크기와 머리의 크기에 성적이형이 나타나는데, 수컷이 대체로 더 큰 경향이 있다. 몸 상단부는 진한 갈색, 배쪽은 연한 황색을 띠며 체측 가운데에는 얼룩덜룩한 무늬가 배열되어 있다. 눈의 공막은 황색이다. 등지느러미의 가시 기조막의 색깔은 변이가 있는데 강릉 이북의 하천에 분포하는 개체군은 검은색을 띠고, 금호강, 형산강 및 태화강에 분포하는 개체군들은 청록색을 띤다. 산란기가 되면 수컷은 몸 표면 전체가 검은색을 띠며 눈의 공막은 더욱 화려한 황금색이 된다(채 1988, 채와 양 1990, 김 1997).  

생물학적 특성

하천 중·하류의 정체되고 수초가 밀생한 곳에서 주로 서식한다. 산란기는 3-4월로 수컷이 수초의 줄기에 직경 3cm 정도의 둥지를 만들고 암컷을 유인해 산란시키고 부화할 때까지 보호한다. 부화한 자어들이 둥지를 떠나면 수컷은 얼마 뒤에 산란장 주변에서 죽는다. 부화한 자어는 바다로 내려가지 않고 일생을 담수지역에서 생활하며 깔다구 유충, 실지렁이, 물벼룩 등의 작은 동물을 먹는다. 수컷은 연중 세력권을 형성해 한 개체씩 따로 떨어져 생활한다.  

분포 현황

자산천, 간성북천, 연곡천, 사천천, 강릉남대천, 형산강, 태화강 등의 동해로 흐르는 하천 및 낙동강의 일부 지역에 서식한다(채 1988, 환경부 1997-2009).  

번식 현황

하천 중·하류의 흐름이 거의 없고 수초가 많은 곳에서 번식한다.  

서식지 동향

번식지와 서식지가 동일하다.  

개체수 현황

정보부족  

분류학적 특성

일본의 교토시 인근에 서식하고 있는 개체군을 기준표본으로 해 신종으로 보고되었다(Tanaka 1915). 이후 학자에 따라 분류학적 수준에 상당한 견해의 차이가 있었으나 Kim et al. (1989)은 일본산과 한국산 사이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고 해 한국산에 대해 잠정적으로 Pungitius kaibarae ssp.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Fish Base (http://www.fishbase.org/search.php)에서는 P. kaibarae, P. p. sinensis, P. sinensis, P. s. kaibarae, P. s. sinensis를 모두 P. sinensis의 동종이명으로 취급하고 있어 분류학적 재검토가 필요하다.  

국제 동향

북반구의 연안역에 널리 분포한다(채 1988).  

위협 요인

무분별한 하천개수공사, 수량의 감소 및 수질오염으로 인해 서식지가 파괴되어 감소하고 있다.  

특기 사항

환경부는 2005년 멸종위기야생동식물 II급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일본의 교토시와 효고현에도 서식했으나 1960년대 말 산업화와 도시의 팽창으로 모두 절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Kawanabe and Mizuno 1989).  

평가 결과

NT 분포범위는 유지되고 있으나 서식지의 파괴, 조각화, 크기 감소가 계속되고 있다.  

참고문헌

Kawanabe, H. and Mizuno, N. 1989. Freshwater fishes of Japan. Yamakei Publication Co., Tokyo.
Kim, I.S., Youn, C.H. and Lee, J.H. 1989. Morphological variation and karyotype of the Korean species of sticklebacks (Pisces; Gasterosteidae) in Korea. Korean Journal of Systematic Zoology 5: 107-119.
Tanaka, S. 1915. Ten new species of Japanese fishes. Dobutsugaku Zassi 27: 565-568.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37권 동물편(담수어류). 교육부.
채병수. 1988. 한국산 가시고기(Pungitius sinensis: Gasterosteidae)의 형질분석에 의한 분류.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채병수, 양홍준. 1990. 가시고기(Pungitius sinensis: Gasterosteidae)의 성적 이형. 한국동물학회지 33: 260-265.
환경부. 1997-2009. 전국자연환경조사. 담수어류.  

영문초록

The short ninespined stickleback Pungitius kaibarae ssp. is a small gasterosteid fish and distributed in the rivers flowing to the East Sea and some parts of the Nakdong River drainage. This species is found in the middle and lower sections of rivers and prefers heavily vegetated stagnant pool. However, recent anthropogenic activities such as channel improvement and water pollution have resulted in decline of natural habitats.  
집필자 : 채병수(국립공원연구원)

잔가시고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