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두루미

Grus vipio Pallas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조류
  • 영명 : White-naped Crane
  • 분류학적 위치
  • KTSN : 120000001650
  • 적색 분류 : 위기(EN)
  • IUCN범주 : 취약(VU) 평가방법 보기
  • 지정 현황
    • -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Ⅱ급, 천연기념물 제203호

요약

국제적으로 절멸위기에 처한 종으로 우리나라에는 겨울철새로 도래한다. 국내에 월동하는 개체수는 1,400여 개체로 판단되며, 철원, 한강 하구, 주남저수지 등 일부 철새도래지를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도래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위기종(EN)으로 평가했다.  

형태

몸은 암수가 같은 색깔로 푸른색을 띤 회색이며 이마와 눈 가장자리 그리고 뺨은 피부가 나출되어 붉은색을 띤다. 목은 흰색으로 가슴에서 이어지는 회색이 목 앞으로 뾰족한 모양으로 올라와 있다. 첫째날개깃과 둘째날개깃은 검은색이지만, 셋째날개깃과 등의 일부는 흰색이다. 어린 새는 머리꼭대기에서 뒷목까지 갈색이다. 부리는 황록색이고 다리는 붉은색이다.  

생물학적 특성

강 하구, 갯벌, 개활지, 논, 초습지에서 생활하며 조개류와 곤충류, 옥수수, 벼의 낱알, 풀씨, 풀뿌리 등을 먹는다. 경계심이 매우 강하며, 사람이 접근하면 주위를 감시하던 개체의 신호에 의해 무리 전체가 목과 머리를 위로들고 날아갈 준비를 한다. 산란은 4-5월에 개방된 습지 위에 풀과 마른 풀을 쌓아 올려 만들고 엷은 갈색 바탕에 암갈색의 얼룩무늬와 반점이 있는 알을 2개 정도 낳는다. 포란기간은 28-32일이며, 육추기간은 70-75일이다.  

분포 현황

철원지역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가 관찰되며, 한강 하구, 임진강유역, 순천만, 구미 해평습지, 주남저수지, 낙동강 하구 등에 분포한다.  

번식 현황

우리나라에서는 번식하지 않는 겨울철새다.  

서식지 동향

갯벌, 강 하구, 농경지 등에서 월동한다.  

개체수 현황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에서 387-1,790개체(1999년에 569개체, 2000년에 387개체, 2001년에 436개체, 2002년에 437개체, 2003년에 452개체, 2004년에 626개체, 2005년에 1,103개체, 2006년에 1,321개체, 2007년에 1,397개체, 2008년에 1,433개체, 2009년에 1,790개체, 2010년에 1,433개체)가 관찰되었다. 전국적인 조사결과 우리나라에 1,400여 개체가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분류학적 특성

정보부족  

국제 동향

국제적으로는 6,500여 개체가 있는 판단되며, 러시아, 몽골, 중국, 한반도, 일본에 분포한다. 3,500-4,000개체 가 우리나라와 일본으로 이동해 월동하고 나머지는 중국 남부지역으로 이동해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 규슈의 이즈미 지방이 최근 최대의 월동지로 보고되고 있다.  

위협 요인

도시화에 따른 농경지와 습지, 갯벌 등의 감소, 논에서 추수 후 볏짚의 수거, 수로와 도로의 시멘트화 등으로 서식지 감소와 단편화, 먹이의 부족이 주된 요인이 된다.  

특기 사항

환경부 멸종위기Ⅱ급, 문화재청 천연기념물 제203호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한강 하구 재두루미 도래지는 천연기념물 제250호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평가 결과

EN B1b(ⅰ)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에서 2005-2010년은 1999-2004년보다 개체수가 증가되기는 했지만 과거에 수렵허가가 되었을 때보다 적고(Austin, 1948), 도래지역도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일본의 월동 개체가 대부분 우리나라를 통과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중간기착하는 지역을 제외하고 겨울철 내내 월동하는 지역은 한강 하구, 철원, 주남저수지 등으로 매우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IUCN 적색목록 기준에 따라 위기종(EN) B1b(ⅰ)로 평가했다.  

참고문헌

Austin, O. L. 1948. The Birds of Korea. Bulletin of the Museum of Comparative Zoology at Harvard College Vol. 101. No. 1. pp.301.
IUCN. 2010.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www.iucnredlist.org
del Hoyo, J., A. Elliott and J. Sargatal. eds. 1996.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 3. Lynx Edicions, barcelona. 821pp.
강태한. 2009. 한강 하구에 도래하는 재두루미(Grus vipio)의 서식지 이용에 관한 연구. 전라남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문화재청. 2003. 천연기념물백서. 문화재청. 570pp.
문화재청. 2007. 중장기 천연기념물(동물) 분포파악을 위한 조사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천연기념물센터. 182pp.
배성환. 2000. 비무장지대에 월동하는 두루미의 서식지이용에 관한 연구: 월동수용능력과 GIS를 이용한 공간분포분석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진영. 2002. 한국의 조류 현황과 분포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원병오. 1981. 한국동식물도감-제25권 동물편(조류생태). 문교부. 1,126pp.
이우신, 구태회, 박진영. 2000. 야외원색도감 한국의 새. LG상록재단. 320pp.
환경부. 1999-2010.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 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국립생물자원관.  

영문초록

Grus vipio is winter visitor in Korea. Population in Korea and Japan is estimated at 3,500 - 4,000 individuals. Wintering population in Korea is about 1,400 individuals. Habits is swamps and marshes near lakes and rivers. White-naped Crane usually eat seeds, roots, insects, snails and small fishes in open grassland and wetlands in winter in Korea. Major wintering areas is Gumi, Han-gang river estuary, Cheolwon, Suncheon bay, Junam reservoir in Korea. International population size estimated about 6,500mature individuals in 2010. It meets the criteria for EN B1b(ⅰ).  
집필자 : 김진한(국립생물자원관), 이시완(한국환경생태연구소)

재두루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