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어새

Platalea minor Temminck & Schlegel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조류
  • 영명 : Black-faced Spoonbill
  • 분류학적 위치
  • KTSN : 120000001519
  • 적색 분류 : 취약(VU)
  • IUCN범주 : 위기(EN) 평가방법 보기
  • 지정 현황
    • -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Ⅰ급, 천연기념물 제205-1호

요약

여름철새이자 일부는 제주도에서 월동하기도 한다. 한강 하구와 서해안의 작은 바위섬에서 번식하는 국제적 보호조류로, 우리나라에서는 2007년 최대 710개체가 관찰된 바 있다. 번식기에는 주로 경기도만에 집중해 도래하며, 번식기 이후에는 해안과 갯벌, 하천에 넓게 분포한다. 조력발전소 건립, 갯벌의 매립, 공사에 따른 오염물질의 갯벌 유입 등이 이 종의 서식을 위협하는 주요 요인이 되어 우리나라에서는 취약종(VU)으로 평가했다.  

형태

몸은 흰색이며 부리는 주걱모양으로 길고 검은색이다. 부리에 주름이 많으며 검은색이다. 눈 주변에 노란 선이 있거나 부리 끝이 노란개체도 있다. 번식기에는 노란색 가슴 띠와 머리 뒤에 긴 갈기(장식깃)가 생긴다. 어린 개체는 날개 끝이 검고 줄무늬가 있다(원 1996; 이 등 2000).  

생물학적 특성

3월 말부터 둥지를 짓기 시작해 5월 하순에 알 4-6개를 낳는다. 알은 흰색으로 흐린 자색과 갈색 얼룩점이 흩어져 있다. 작은 물고기, 개구리, 올챙이, 조개류 등을 잡아먹는다. 3월부터 11월까지 해안지역을 중심으로 서식하며, 일부 개체는 제주도에서 월동하기도 한다(원 1996; 이 등 2000).  

분포 현황

임진강 하구에서부터 낙동강 하구, 제주도 성산포 일대에 이르기까지 해안과 갯벌, 하천을 따라 폭넓게 분포한다.  

번식 현황

한강 하구와 서해안의 작은 무인도서에서 번식한다. 주요 번식지는 강화남단 각시바위, 요도(역섬), 수리봉, 인천시 송도 남동유수지 등 주로 경기도만 일대의 면적이 넓지 않은 무인도서다. 2007년까지 김포시 유도는 100쌍 이상이 번식하는 국내 최대 저어새 번식지였으나, 외부 요인에 의해 번식지를 떠나는 개체들이 증가해 현재는 대부분이 강화남단의 작은 섬으로 흩어져 번식하고 있다. 그 외, 인천시 송도 남동유수지에서 2007년부터 소규모의 무리가 새로 번식하기 시작했으며, 2010년에는 약 30쌍이 번식한 바 있어 인천시 송도갯벌 일원을 습지보호지역(2009년 12월 31일)으로 지정한 바 있다(문화재청 2006, 2007; 문화재청 2009).  

서식지 동향

봄철 물을 가둔 논, 강 하구, 얕은 해안이나 바닷물이 드나드는 갯벌, 작은 물웅덩이, 갈대밭 등지를 선호한다. 특히, 강화남단의 여차리, 선두리갯벌은 경기도만에서 번식하는 저어새의 먹이 활동지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 는 서해안 갯벌의 대규모 매립, 조력발전소 건설 등으로 서식지가 점차 축소되고 있다.  

개체수 현황

우리나라에서의 관찰기록은 1999년 142개체, 2000년 43개체, 2001년 253개체, 2002년 233개체, 2003년 310개체, 2004년 266개체, 2005년 475개체, 2006년 710개체, 2007년 31개체 등이 있다(강 등 2008). 국내 주요 번식지인 경기도만에서 확인된 개체 현황은 강화남단에서 약 280개체, 인천시 송도 일원에서 약 100개체, 시화호일원 약 100개체, 새만금 일원 약 80개체 등이다. 그 외에도 한강 하구, 만경강, 천수만, 곰소만 등에서 소규모 무리가 서식한다. 우리나라에 월동하는 개체는 1979년 이후 제주도에 도래하기 시작해 1988년 이전까지 5개체 미만이 관찰되었으나 그 이후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제주도에서 월동하는 90% 정도가 성산포 지역에서 월동하며, 성산포 지역에 월동하는 저어새의 최대 개체수는 2003-2004년 월동기에 22개체, 2004-2005년 월동기에 21개체 관찰된 바 있다. 2010년 1월에는 제주도에서 27개체가 확인되었다(환경부 1997-2009; 김 등 1998; 환경부 1999-2010; 최 2004; 노 2005; 문화재청 2006, 2007).  

분류학적 특성

정보부족  

국제 동향

세계적으로 동아시아에서만 서식하는 종으로 한국, 홍콩, 대만, 일본, 베트남, 필리핀 등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2010년 1월 국제 저어새 모니터링 결과 총 2,347개체가 관찰되었다. 그 중 대만 타이난 시쿠 보호구는 저어새의 최대 월동지로 알려져 있다. 시쿠 보호구에서는 2009년 11월에 최대 1,218개체가 관찰된 바 있으며, 2010년 1월에는 1,280개체가 관찰되었다. 그 외 홍콩과 심천 462개체, 중국 본섬과 하이난 234개체, 마카오 39개체, 일본 258개체, 베트남 46개체가 2010년 1월에 관찰되었다(IUCN 2010; 홍콩야조회).  

위협 요인

갯벌의 매립, 해안도로 건설 및 확장, 공사에 따른 각종 오염물질의 갯벌 유입 등으로 번식지 및 먹이 활동지가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 특히 경기도만 일대의 조력발전소 건립 등과 같은 서식지 감소와 환경변화를 예고하는 개발 계획이 추진 예정이므로 그 심각성이 크다. 그 외 각종 보호구역 설정 후 인간의 잦은 출입도 번식지이탈, 번식 실패 등의 요인이 되고 있다.  

특기 사항

환경부 멸종위기Ⅰ급, 문화재청 천연기념물 제205-1호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집단의 규모는 약 2,500개체로 동아시아 일대에 서식하는 특정종이다. 동아시아 주요국들은 저어새 국제네트워크 사무국을 통해 매년 1월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시행하고 있다. 이 자료는 홍콩야조회의 웹사이트를 통해 취합되며, 보고서로 출간되고있다(IUCN 2010; 홍콩야조회).  

평가 결과

VU D(1) 전 세계 집단이 약 2,400개체이며 그 중 우리나라에서는 최대 710개체가 관찰된 기록이 있다. 우리나라에 매년 소수가 번식하고 있으나 인간의 직접적인 위협과 갯벌의 매립을 통한 서식지 감소 등의 요인에 의해 번식지가 변경되거나 사라지고 있어 개체군의 변동이 크다. 여름철새이므로 우리나라 전역의 해안가에서 관찰되고는 있으나 주요 번식지가 경기도만에 집중되어 있으며, 최근 경기도만 일대의 갯벌 매립 및 개발 계획 등이 추진되고 있어 국내 최대 번식지 및 서식지가 위협받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해 IUCN 적색목록 기준의 취약종(VU) D(1) 으로 평가했다.  

참고문헌

IUCN. 2010.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www.iucnredlist.org
강정훈, 김인규, 유승화, 강태한, 백운기. 2008. 한국의 천연기념물 조류의 현황과 서식실태. 한국조류학회지, 15(1): 73-84.
김완병, 오홍식, 박행신. 1998. 저어새 Platalea minor 의 도래현황과 보호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조류학회지 5: 27-33.
노신애. 2005. 제주도 성산포에 도래하는 저어새(Platalea minor )의 월동생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문화재청. 2006. 2006년 천연기념물 모니터링. 문화재청. 124pp.
문화재청. 2007. 중장기 천연기념물(동물) 분포파악을 위한 조사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천연기념물센터. 182pp.
원병오. 1996. 한국의 조류. 교학사. 453pp.
이우신, 구태회, 박진영. 2000. 야외원색도감 한국의 새. LG상록재단. 320pp.
최창용. 2004. 제주도 성산포에 도래하는 저어새의 월동생태 및 관리방안.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콩야조회: http://www.hkbws.org.hk/BBS/viewthread.php?tid=12641&extra=page%3D1
환경부. 1997-2009. 전국자연환경조사.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국립생물자원관.
환경부. 1999-2010.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국립생물자원관.  

영문초록

Platalea minor is large wetland species that visits southern Korea in summer. It has restricted distribution with a very small population, breeding only in Far East Asia. They feed on fish and crustaceans in the shallow waters of mudflats and estuaries, and breed in rock clefts on small oceanic island. Wintering flocks observed at several sites in southern Korea-Jeju Is.(Seongsan), Nackdong river. International population size stimated about 2,347 mature individuals in 2010. It observed more then 100pairs at U-do until in 2007, but lately bred about 30pairs at Song-do in 2010. It meets the criteria for VU D(1). Nowaday, its habitat has been greatly reduced, international cooperation is required to conserve this species.  
집필자 : 이기섭(한국물새네트워크), 송민정(한국환경생태연구소)

저어새
저어새
최순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