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굴무치

Eleotris oxycephala Temminick & Schlegel, 1845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 적색 목록집 권호 : 어류
  • 영명 : Spined sleeper
  • 분류체계
    • - 농어목(Perciformes) 구굴무치과(Eleotridae)
  • KTSN : 120000058983
  • 적색 분류 : 미평가(NE)
  • IUCN범주 : 자료없음

요약

흐름이 느린 하천에 서식하는 소형 어류다. 남해와 서해로 흐르는 일부 독립하천에서 서식한다.  

형태

체장은 약 15cm이며, 체형은 측편, 머리는 종편되어 있다. 등지느러미 기조수 14-15개, 뒷지느러미 기조수 9-10개, 가슴지느러미 기조수 17개, 배지느러미 기조수 6개, 종열비늘수 45-50개 및 새파수 4+10개다. 아래턱은 위턱보다 약간 길며 양안 간격은 약간 넓다. 턱에는 이빨이 있으나 서골과 구개골에는 이가 없다. 혀의 전단부는 둥글다. 아가미덮개에는 외부로 돌출된 새개골의 가시가 1개 있다. 문단부와 안와부를 제외하고 몸 전체에 비늘이 있는데, 머리에는 원린, 몸에는 즐린이 있다. 측선은 없다. 꼬리지느러미와 가슴지느러미의 바깥 가장자리는 둥글다. 배지느러미는 유합되지 않고 분리되어 있다. 몸은 진한 녹색으로 등쪽은 진하고 배쪽은 연하다. 눈에는 2줄의 세로띠가 있다. 등지느러미의 극조부에는 흑색 종대가 3개 있다(김 1997).  

생물학적 특성

강에서 부화한 치어는 바다로 이동해 성장한다. 전장 10cm 내외가 되면 바닥에 붙어서 저서생활을 한다. 성어는 유속이 느린 강 하구 등에서 낮에는 수초나 돌 밑에 숨고 주로 밤에 활동하며 게, 새우, 다모류 등을 먹는다(김 1997).  

분포 현황

제주도에 분포한다는 기록이 있을 뿐(Mori 1952), 그 후 채집된 보고는 없다.  

번식 현황

정보부족  

서식지 동향

강 하구 부근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개체수 현황

정보부족  

분류학적 특성

Eleotris oxycephalus, E. melanosoma 및 E. fortis의 학명이 혼동되고 있으므로 추후 분류학적인 검토가 요구된다(Tomiyama 1936, Koumans 1953, Okada 1961, Nakabo 1993).  

국제 동향

중국과 일본에 분포한다(김 1997).  

위협 요인

정보부족  

특기 사항

정보부족  

평가 결과

NE 제주도에 분포했으나, 그 후 채집된 보고는 없었다. 최근 부산 지역에서 출현한 보고가 있으나 도입 여부에 대한 평가가 불가능하다.  

참고문헌

Koumans, F. P. 1953. The fishes of the Indo-Australian Archipelago: Gobiodea. Vol. X., Brill, E.J. Leiden.
Mori, T. 1952. Checklist of the fishes of Korea. Memoirs of the Hyogo University of Agriculture 1: 1-228.
Nakabo, T. 1993. Fishes of Japan with Pictorial Keys to the Species. Tokai University Press.
Okada, Y. 1961. Studies on the freshwater fishes of Japan. Journal of the Faculty of Fisheries Prefectural University of Mie 4: 1-860 (Pls. 1-61).
Tomiyama, I. 1936. Gobiidae of Japan. Japanese Journal of Zoology 7: 37-112.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37권 동물편(담수어류). 교육부.  

영문초록

The spined sleeper, Eleotris oxycephala is an eleotrid fish and limitedly distributed in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s of Korea. This species is found at slowly flowing region of the estuary.  
집필자 : 채병수(국립공원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