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고사리삼

Mankyua chejuense B.-Y. Sun, M. H. Kim & C. H. Kim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관속식물
  • 분류학적 위치
  • KTSN : 120000059559
  • 적색 분류 : 위급(CR)
  • IUCN범주 : 자료없음

요약

정보부족  

형태

상록성 양치식물로 줄기는 곧추서서 10cm 정도 자란다. 잎은 뿌리줄기에 1-2장이 나오는데, 자루 끝에 전체적으로 작은잎 5-6장이 돌려난 것처럼 보인다. 생식우편은 가을에 잎자루 끝에 1-2개씩 달린다.  

생물학적 특성

정보부족  

분포 현황

제주도 조천읍과 구좌읍 일대 곶자왈에만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총 117개 장소에서 분포가 확인되었으나 거의 인접해 생육한다.  

번식 현황

정보부족  

서식지 동향

자생지가 주위보다 약간 낮은 함몰구 또는 습지의 형태를 띠고 있으며, 주로 근경을 이용해 무성번식으로 개체수가 증가하는데, 근경이 1m 이상 자라기도 해, 동일한 자생지 내에서 인접하고 있는 개체는 동일한 개체일 가능성이 높아 개체수 파악이 힘들다.  

개체수 현황

정보부족  

분류학적 특성

정보부족  

국제 동향

정보부족  

위협 현황

최근에 우리나라 고유속이자 유일한 종으로 알려진 이후, 자생지 탐방, 불법 채취 등에 의해 심각한 자생지 교란과 훼손이 발생하고 있으며, 자생지 인근지역에 다양한 대규모 개발사업이 진행되어 자생지 훼손과 소멸이 우려되고 있다. B1ab(iii)c(v).  

보호 상황

2005년부터 멸종위기야생동식물로 지정·보호하고 있으며, 자생지 일부는 천연보호구역으로 보호받고 있다.  

특기 사항

정보부족  

평가 결과

정보부족  

참고문헌

김철수. 2006. 제주도내 멸종위기야생식물의 분포와 식생. 제주대학교 이학박사학위 논문.
문명옥. 2007. 제주도의 양치식물상. 제주대학교 이학박사학위 논문.
신정훈. 2012. 제주고사리삼(고사리삼과) 서식지의 환경 특성, 개체군 동태와 환경 처리에 따른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태학적 반응. 공주대학교 이학석사학위 논문.
이상혁. 2011. 기후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특산속 식물 분포 예측. 충남대학교 농학석사학위 논문.
현화자. 2011. 제주고사리삼의 생장 특성 및 식생 구조. 제주대학교 이학박사학위 논문.  

영문초록

Mankyua chejuense is an endemic species and occur in several patches in Jeju-do. The illegal collection of the plants and habitat loss by urbanization are main threatening factors.  

제주고사리삼
제주고사리삼
김지훈
제주고사리삼
김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