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롱뇽

Hynobius quelpaertensis Mori, 1928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양서류
  • 영명 : Cheju Salamander
  • 분류체계
    • - 도롱뇽목(Caudata) 도롱뇽과(Hynobiidae)
  • KTSN : 자료없음
  • 적색 분류 : 준위협(NT)
  • IUCN범주 : 정보부족(DD) 평가방법 보기

요약

한국 고유종으로 저지대 평야에 있는 습지 또는 산간의 계곡에 서식·산란한다. 최근 저지대 개발에 따라 서식·산란지가 크게 감소하고 있다.  

형태

일반 도롱뇽과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하며, 일반적으로 수컷은 등이 흑색이며, 앞다리가 암컷에 비해 굵은 편이다. 특히 번식기에는 수컷의 경우 생식공(총배설강) 상단에 돌기가 있어 암컷과 구별이 쉽다. 암컷의 경우 엷은 회색 바탕에 작은 흑색 반점들이 있어 은회색 또는 연한 코발트색이 돌기도 한다.  

생물학적 특성

성체는 초봄에 주로 산간의 하천이나 습지에 산란한다. 제주도에서는 반도보다 일찍 산란을 시작한다. 알집은 도롱뇽과 유사하며 바나나 형태의 알주머니를 1쌍을 바위 밑이나 나뭇가지에 한쪽을 부착시켜 산란한다. 알주머니에서 깨어 나온 어린 유생들은 겉아가미가 있으며 육식성이다. 성체는 먹이로 소형무척추동물을 선호한다.  

분포 현황

제주도를 포함해 한반도 서·남해안 지방과 주변 도서지역에 넓게 분포한다고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 조사 결과 기존의 분포역과는 달리 제주도를 포함한 한반도의 서남부지역인 전라북도(곡성, 남원, 담양)와 전라남도(무안, 장성, 화순, 영암, 흑산도 등), 경상남도 함양지역, 그리고 남해안 일대에서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Baek et al. 2008, 2011).  

번식 현황

정보부족  

서식지 동향

서식지가 주로 논지 주변이며, 이밖에 일부 산간 계곡의 하천가나 습지에 분포한다. 서식지가 농지인 경우 농약에 노출되어 있고 농지를 다른 용도로 전환하는 개발행위로 인해 서식지가 감소하고 있다.  

개체수 현황

제주도롱뇽에 대한 전국적인 서식 개체수 변화에 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나 서식지 개발에 따른 서식지의 감소가 개체수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분류학적 특성

도롱뇽(H. leechii)과 형태 및 서식환경이 비슷해 종 구분이 매우 어렵다. 서구개치가 평균 36-42개로 도롱뇽에 비해 수가 많으나 변이는 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Mori (1928)가 형태적 차이를 들어 제주도 집단을 도롱뇽의 아종으로 발표했으나, 그 후 많은 학자들이 도롱뇽으로 통합했다. 그러나 그 후 Yang과 Yu (1978)가 제주도 집단의 분류학적 위치를 재검토했고, Yang et al. (1982, 1997)은 유전자 및 형태 분석을 실시해 제주도 집단은 반도 집단과 유전적으로 뚜렷하게 구분되는 독립된 종으로 주장했다. 최근 Baek 등 (2008, 2011)은 제주도롱뇽들의 분포 지역으로 알려져 왔던 남해안 집단을 대상으로 mtDNA분석을 실시해 제주도롱뇽의 새로운 분포지역을 밝힘과 동시에, 남해안 남동부 일부 지역에는 새로운 종들이 존재할 것으로 보고하기도 했다.  

국제 동향

한국 고유종이다.  

위협 요인 및 보호대책

논지의 감소, 주택 및 도로의 건설, 수질오염 등에 따른 서식 및 산란지의 파괴가 최대 위협 요인으로 사료된다. 국가차원에서 생물고유종 파악과 보전을 위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특기 사항

한국 고유종으로서 생물학적 가치가 높다고 보며, 현재 실질적 분포가 새롭게 밝혀지고 있어 이들의 분포한계를 명확히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  

평가 결과

NT 이들의 출현지역이 한계가 있고 서식지의 파괴로 인한 개체수의 감소현상이 추정되고 있어, NT로 평가했다  

참고문헌

Baek HJ, MY Lee, H Lee and MS Min. 2011. Mitochondrial DNA data unveil highly divergent populations within the genus Hynobius (Caudata: Hynobiidae) in South Korea. Molecules and Cells 31(2):105-112.
Baek HJ, MY Lee, H Lee and MS Min. 2010. Genetic diversity of the genus Hynobius in South Korea, using mitochondria lDNA. 49th annual meeting of the Herpetological Society of Japan.
Baek HJ, H Lee and MS Min. 2008.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the genus Hynobius in Korea. 1st annual conference of the Korean Research Society of Herpetologists.
Mori T. 1928. On a new Hynobius from Quelpart Isl. Journal of Chosen Natural History Society 6:47-52.
Yang, SY and CH Yu. 1978. Check list of Korean amphibians. Bulletin of Institute of Basic Sciences, Inha University 5:81-90.
Yang, SY, YJ Kim, and HJ Son, 1982. Genetic variation in natural populations of Korean salamanders (Hynobius leechii). Bulletin of Institute of Basic Sciences, Inha University 3:135-139.
Yang, SY, JB Kim, MS Min, JH Suh, and HY Suk, 1997. Genetic and Phenetic Differentiation among Three forms of Korean Salamander Hynobius leechii. Korean J. Biological Sciences 1:247-257.  

영문초록

This species is being designated as data deficient(DD) by the IUCN. The distribution of this species is restricted to parts of southwester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due to the habitat alterations and loss by human, wild populations are decreasing. This species is classified into the NT (near threatened group).  
집필자 : 민미숙(서울대학교)

제주도롱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