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구굴치

Micropercops swinhonis (Gunther, 1873)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 적색 목록집 권호 : 어류
  • 분류체계
    • - 농어목(Perciformes) 동사리과(Odontobutidae)
  • KTSN : 자료없음
  • 적색 분류 : 관심대상(LC)
  • IUCN범주 : 관심대상(LC) 평가방법 보기

요약

서해 및 남해로 흐르는 일부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로서, 물이 정체되고 수초가 많은 곳에서 주로 발견된다. 최근 하천의 수질오염, 개수공사 등으로 서식지가 급격히 감소했다.  

형태

체장은 4-5cm이며, 체형은 약간 납작하다. 등지느러미 기조수 16-22개, 뒷지느러미 기조수 7-10개, 종열비늘수 33-37개, 새파수 3-4+8-10개 및 척추골수 32-35개다. 아래턱이 위턱보다 돌출되며, 입은 비스듬히 위를 향한다. 턱에는 이빨이 있으나 서골과 구개골에는 이가 없다. 비늘은 즐린이다. 눈은 약간 위로 돌출한다. 양 눈 사이는 안경보다 넓고 오목하다. 등지느러미는 두 개이며 서로 근접해 있다. 꼬리지느러미 뒤 가장자리는 둥글다. 수컷은 황갈색으로 체측에 8-10개의 흑색 가로무늬가 있고 암컷은 회갈색으로 흑색 가로무늬가 희미하다. 눈 아래에 흑색의 줄무늬가 있다. 수컷은 복부, 지느러미 기부, 꼬리지느러미 하단에 진한 주황색을 띤다(김 1997).  

생물학적 특성

농수로나 유속이 느린 하천의 수초가 많은 곳에 서식한다. 산란기가 되면 수컷은 세력권을 형성하고 바닥의 큰 돌 아래를 깨끗이 청소해 산란장을 만든다. 암컷이 산란을 마치고 떠나면 수컷이 부화할 때까지 보호한다. 요각류, 깔다구 유충, 실지렁이 등의 동물성 먹이를 주로 먹는다.  

분포 현황

경기도 시흥, 마령, 서천, 전주, 군산, 부안, 고창, 남원, 여수 등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하천에 분포한다(김 1997, 환경부 1997-2009, 국립환경과학원 2010).  

번식 현황

산란기가 되면 수컷은 하천 바닥의 돌 밑을 청소하고 암컷을 유인해 산란시킨 후 부화할 때까지 보호한다.  

서식지 동향

유속이 느린 하천의 수초가 많은 곳에 서식한다.  

개체수 현황

정보부족  

분류학적 특성

Kim et al. (1986)이 전북 고창과 진안에서 채집된 표본 12마리를 대상으로 Micropercops dabryi borealis로 동정해 미기록종으로 보고한 후, 최 등(1990)은 Hypseleotris swinhonis의 학명을 사용했다.  

국제 동향

중국에 분포한다(김 1997).  

위협 요인

무분별한 하천개수공사 및 수질오염으로 인해 서식지가 파괴되어 감소하고 있다.  

특기 사항

정보부족  

평가 결과

LC 서해로 흐르는 하천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며 최근에는 남해로 흐르는 몇몇 하천에서 새로운 서식지가 발견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서식지 파괴의 위협이 증가하고 있다.  

참고문헌

Kim, I.S., Lee, Y.J. and Kim, Y.U. 1986. Synopsis of the family Gobiidae (Pisces; Perciformes) from Korea. Bulletin of Korean Fisheries Society 19: 387-408.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37권 동물편(담수어류). 교육부.
최기철, 전상린, 김익수, 손영목. 1990. 원색 한국담수어류도감. 향문사.
환경부. 1997-2009. 전국자연환경조사. 담수어류.  

영문초록

Micropercops swinhonis is a small odontobutid fish and distributed in rivers running into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s of Korea. This species is found at slowly flowing region or stagnant pool with heavy vegetation. However, recent anthropogenic activities such as channel improvement and water pollution have resulted in destruction of habitats.  
집필자 : 채병수(국립공원연구원)

좀구굴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