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어

Leiocassis longirostris Gunther, 1864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 적색 목록집 권호 : 어류
  • 영명 : Long snouted bullhead
  • 분류체계
    • - 메기목(Siluriformes) 동자개과(Bagridae)
  • KTSN : 자료없음
  • 적색 분류 : 지역절멸(RE)
  • IUCN범주 : 정보부족(DD) 평가방법 보기

요약

저서성 대형 어류로 하천의 유속이 느리고 모래와 진흙이 깔린 큰 강 하류와 기수역에 주로 서식했다. 그러나 수질오염과 하구둑 건설, 남획으로 1970년대 이후 절멸된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

체장은 50cm 이상까지 자라며, 체형은 원통형이고 뒤쪽은 옆으로 납작하다. 등지느러미 기조수 9개, 뒷지느러미 기조수 16-18개, 새파수 16개 및 척추골수 36개다. 머리는 위아래로 납작하며, 주둥이는 길고 입은 주둥이 아래 눈이 위치한 곳에 있다. 수염은 4쌍이 있으며 짧은 편이다. 가슴지느러미 가시 안쪽으로 톱니 모양의 거치가 있으며 꼬리지느러미는 상엽과 하엽으로 갈라져 있다. 등 부분은 회백색이지만 환경 변화에 따라 회색 혹은 분홍색을 띨 때도 있으며, 복부는 흰색이다(김 등 2007).  

생물학적 특성

온수성 어류에 속하며 25-28℃에서 가장 잘 성장한다. 주로 강의 바닥에서 서식하며 낮에 바위 모서리, 웅덩이, 바위 아래, 자갈 틈 등에 숨어 있다가 밤에 중·상류층으로 올라와 작은 물고기, 수서곤충 및 갑각류를 주로 먹는다. 산란기는 5-7월이며 포란수는 1,200-150,000개(평균 70,000개)이며, 난경은 장축이 2.01-2.10mm, 단축이 1.25-1.55mm이다. 부화는 수온 21.5-23.0℃에서 75시간 만에 이루어지며 부화 자어의 크기는 5.91-6.10mm이다. 5세 이전까지 빠르게 성장하다가 6세가 넘으면 성장 속도가 감소한다(김 등 2007).  

분포 현황

1930년 전후까지 우리나라 한강, 임진강 및 금강에 분포했으나, 1970년대 이후부터 현재까지 전혀 관찰되지 않아 절멸된 것으로 보인다.  

번식 현황

정보부족  

서식지 동향

정보부족  

개체수 현황

정보부족  

분류학적 특성

정보부족  

국제 동향

중국에 분포하며, 양식된 개체는 음식점에서 비교적 고가로 판매되고 있다.  

위협 요인

하구역의 수질오염, 하구둑 건설로 인한 서식지 파괴와 무분별한 남획으로 1970년대 이후 우리나라 전역에서 확인되지 않아 절멸된 것으로 추정된다(이 등 2005).  

특기 사항

국립수산과학원에서는 1970년대 이후 중국에서 종어를 도입해 복원을 시도하고 있다. 1999년에 치어 1,000마리, 2004년과 2005년에도 성어 각 1,000마리를 중국에서 도입해 종묘생산에 성공했다(이와 노 2006). 한편 IUCN은 DD로 평가하고 있다.  

평가 결과

RE 우리나라에서는 1970년대 이후 채집된 기록이 없다. 주로 분포했던 금강에서는 하구둑이 설치되어 자연서식이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어 절멸한 것으로 여겨진다.  

참고문헌

김광석, 이완옥, 김종화, 홍관희, 김대희, 김치홍, 이병철, 전형주, 이종관, 한형균. 2007. 종어양식.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수산기술지 41: 3-18.
이완옥, 김경환, 김대희, 조용철, 김응오. 2005. 중국에서 이식한 종어(Leiocassis longirostris G?nther)의 외부형태 및 초기생활사. 한국어류학회지 16: 42-50.
이완옥, 노세윤. 2006. 특징으로 보는 한반도 민물고기. 지성사.  

영문초록

The long snouted bullhead, Leiocassis longirostris is a large, benthic bagrid fish and now resides in China. This species often inhabits the muddy and sandy bottom with slow flow velocity in the lower section and estuary of large rivers. However, anthropogenic activities such as estuary dam construction, overfishing and water pollution have resulted in its extirpation in the Han, Imjin and Geum River drainages of Korea. It eats aquatic insects, mollusk, crustaceans and fishes.  
집필자 : 이완옥(중앙내수면연구소)

종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