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개구리

Hyla japonica Gunther, 1859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양서류
  • 영명 : Tree Frog
  • 분류체계
    • - 개구리목(Anura) 청개구리과(Hylidae)
  • KTSN : 자료없음
  • 적색 분류 : 관심대상(LC)
  • IUCN범주 : 관심대상(LC) 평가방법 보기

요약

전국 농지에서 주로 발견되나 농지를 다른 용도로 전환하는 개발로 감소추세에 있다.  

형태

비교적 소형으로 피부는 매끄러우며 등은 녹색이나 회색 바탕에 진한 녹색이나 회갈색 불규칙한 무늬가 있어 한국의 다른 개구리와는 잘 구별되나 본 종의 자매종인 수원청개구리(Hyla suweonensis)와는 외형적으로 구별이 어렵고 번식기에 수컷의 구애음성과 울음주머니 색깔 차이로만 식별된다. 수컷은 목과 주둥이 사이에 있는 울음주머니 부위의 피부가 늘어져 있으면서 흑색반문이 뚜렷해 암컷과 구별된다. 유생은 등이 진한 녹색이나 하늘색이며 배는 엷은 회색이다. 유생의 양 눈은 등이 아닌 측면에 있고 분수공은 비스듬히 몸 왼쪽 측면에 있으며 꼬리부분에는 얼룩덜룩한 무늬가 있다. 유생의 치식은 2(2)/3이다.  

생물학적 특성

보통 4, 5월에 물이 고인 농지에 산란하며 10여 개의 알로 구성된 알덩이가 수초 등에 붙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알덩이는 불규칙한 모양으로 1-10개의 알이 한 덩어리를 이룬다.  

분포 현황

전국의 논지에 서식한다.  

번식 현황

정보부족  

서식지 동향

서식지 개발 등으로 개체군과 개체수가 감소추세에 있다.  

개체수 현황

전국에 넓게 분포해 개체수가 비교적 많은 편이나 서식지 개발 등으로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분류학적 특성

최근의 유전자 분석 결과, 한국 집단은 일본 집단과 뚜렷한 유전적 차이가 있는 것이 확인되어(Yang et al. 1997; Lee et al. 1999), 중국 집단을 포함한 분류학적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 한편, 거문도에 분포하는 청개구리는 한때 독립된 종인 Hyla stepheni Boulenger로 취급했으나 Yang (1962)에 의해 동일종으로 정리된 바 있다.  

국제 동향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몽골에 서식한다.  

위협 요인 및 보호대책

위협 요인은 서식지 개발 등이다.  

특기 사항

개체군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되며 차후에도 계속적인 개체군 감소가 예상된다.  

평가 결과

LC 전국에 넓게 분포해 개체수도 비교적 많은 편이나 서식지 개발 등으로 점차 감소하고 있어 LC로 평가했다. IUCN에서도 LC로 평가했다.  

참고문헌

김종범, 송재영. 2010. 한국의 양서파충류. 월드사이언스.
Lee JE, Yang DE, Kim YR, Lee H, Lee HI, Yang SY, and HY Lee. 1999. Genetic relationships of Korean tree frogs (Amphibia: Hylidae) based on mitochondrial cytochrome b and 12S rRNA genes.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Science 3: 295-301.
Yang SY, 1962. Reconsideration on the classification of Korean anurans, Family Hylidae. Korean Journal of Zoology. 5: 35-38.
Yang SY, Min MS, Kim JB, and JH Suh. 1997. Intra and Interspecific diversity and speciation of two tree frogs in the genus Hyla. Korean Journal of Genetics 19: 59-69.  

영문초록

The distributional range of this species (Hyla japonica) is wide in South Korea. However, the numbers of individual and population are reducing continuously.  
집필자 : 김종범(아태양서파충류연구소)

청개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