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머리오리

Anas falcata Georgi, 1775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조류
  • 영명 : Falcated Duck
  • 분류체계
    • - 기러기목(Anseriformes) 오리과(Anatidae)
  • KTSN : 자료없음
  • 적색 분류 : 관심대상(LC)
  • IUCN범주 : 준위협(NT) 평가방법 보기

요약

겨울철새이며, 우리나라 전역의 강과 하천 등 비교적 규모가 큰 습지지역에서 관찰되며, 특히 남부지역(낙동강, 영산강)에서 비교적 많은 개체가 월동한다. 1982년에서 1988에 일본에서 실시한 모니터링에 의하면 개체수는 5,162-8,113으로 추정하며, 한국과 남중국으로 이동하는 개체는 7,000-9,000으로 추정된다. 국내 도래 개체수 및 광범위한 월동 지역을 감안해 관심대상종(LC)으로 평가했다.  

형태

머리에는 특이한 형태의 긴 녹색 댕기가 있다. 흰색멱, 검은색 목테, 이마의 흰점, 검은색 띠가 있는 노란색 엉덩이 등이 특징이다. 가슴의 깃털은 가장자리가 검은색으로 비닐무늬처럼 보이며, 둥글고 길게 늘어진 셋째 날개깃은 꼬리를 가린다(이 등 2000).  

생물학적 특성

알은 6-7월에 6-9개 낳으며 크림색 또는 엷은 황갈색을 띤다. 우리나라의 겨울철새로 강, 하구, 저수지, 해안에서 볼 수 있다. 초식성이며, 특히 다양한 형태 씨앗(볍씨와 곡물)과 수생식물 등을 선호한다. 또한 가끔 수서곤충 등을 먹기도 한다(del Hoyo et al. 1992).  

분포 현황

우리나라 전역의 강과 하천 등 비교적 규모가 큰 습지지역에서 관찰되며, 특히 남부지역(낙동강지역, 영산강)에서 비교적 많은 개체가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번식 현황

시베리아와 툰드라지역에서 번식하며, 우리나라에는 번식기록이 없다.  

서식지 동향

호수, 저수지, 연못 등 물풀이 많은 곳을 선호하며, 전국 각지의 규모가 비교적 큰 습지지역에서 관찰되고 있다.  

개체수 현황

환경부 겨울철새 동시센서스 자료에 의하면 2008-2010년에 매년 4,000-5,000개체가 확인되고 있으며, 그 중 매년 낙동강 하류, 하구에서 500-800개체 이상, 전라남도지역(영산호, 함평 무안 등지)에서 500여 개체 이상이 확인되고 있다. 2009년에는 시화호에서 2,530개체, 화원지역에서 554개체가 확인된 기록이 있다(환경부 1999-2010).  

분류학적 특성

정보부족  

국제 동향

러시아, 중국 동북 지방, 몽골,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1982년에서 1988년에 일본에서 실시한 모니터링에 의하면 개체수는 5,162-8,113으로 추정하며, 한국과 남중국으로 이동하는 개체는 7,000-9,000으로 추정된다. 문헌에 따라 다르지만 전 세계의 개체수는 약 35,000개체로 추정하며, 최근 연구에 따르면 89,000여 개체까지 기록된 바 있다(IUCN 2010).  

위협 요인

최근 조사에 의하면 중국 등지에서 식량 및 깃털을 이용하기 위한 사냥으로 인해 급격히 감소하고 있어 지속적인 관찰이 요구된다(IUCN 2010).  

특기 사항

현재 우리나라에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지만, 서식지 축소와 사냥 등으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고있다(IUCN 2010).  

평가 결과

LC IUCN 분류군 위협 범위 평가 기준 중 준위협종(NT)으로 분류하고 있으나, 국내 도래 개체수 및 광범위한 월동지역을 감안해 관심대상종(LC)으로 평가했다.  

참고문헌

del Hoyo, J., A. Elliott and J. Sargatal. eds. 1992.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 1. Lynx Edicions, Barcelona. pp.600-602.
IUCN. 2010.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www.iucnredlist.org
이우신, 구태회, 박진영. 2000. 야외원색도감 한국의 새. LG상록재단. pp.78-79.
환경부. 1999-2010.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국립생물자원관.  

영문초록

Anas falcata breeds in eastern Asia. It nests in eastern Russia, in Khabarovsk, Primorskiy, Amur, China, Buryatia, Irkutsk, Tuva, eastern Krasnoyarsk, south central Sakha Sakhalin, extreme northeastern North Korea and northern China, in northeastern Inner Mongolia, and northern Heilongjiang, and in northern Japan, Hokkaido and the Kuril Islands. It is widely recorded well outside its normal range, but the popularity of this beautiful duck in captivity clouds the origins of these extralimital birds. Although the global population was previously estimated to be 35,000 individuals, recent counts indicate that it is considerably higher, with perhaps as many as 89,000 in total. It meets the criteria for LC.  
집필자 : 김창회(국립환경과학원), 조해진(한국환경생태연구소)

청머리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