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보치마

Metanarthecium luteo-viride Maxim.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관속식물
  • 분류학적 위치
  • KTSN : 120000065320
  • 적색 분류 : 위기(EN)
  • IUCN범주 : 자료없음

요약

정보부족  

형태

여러해살이풀로 뿌리줄기는 곧고, 많은 수염뿌리가 난다. 땅위 줄기는 없다. 피침형 잎은 뿌리에서 10여장이 나와 사방으로 퍼지며, 길이 8-24cm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노란빛이 도는 녹색 꽃은 6-7월에 높이 15-55cm의 꽃줄기 위에 총상화서에 무리지어 핀다. 열매는 삭과로 익는다.  

생물학적 특성

정보부족  

분포 현황

우리나라와 일본에 분포한다.  

번식 현황

정보부족  

서식지 동향

양지바른 풀밭에서 자란다.  

개체수 현황

정보부족  

분류학적 특성

정보부족  

국제 동향

정보부족  

위협 현황

경기와 경남에만 분포하며, 경기 수원 칠보산 개체군은 완전히 사라졌고, 그 대신 30여 개체가 복원되었다. 경남 개체군은 약 350개체로 이루어져 있다. 기준 B2ab(iii, v)에 의해 위급으로 평가되는데, 일본에서는 멸종위기종으로 평가하지 않고 있어 한 단계 하향 조정했다.  

보호 상황

2012년부터 멸종위기야생동식물로 지정·보호하고 있으며, 경남 자생지는 국립공원으로 지정·관리되고 있다.  

특기 사항

정보부족  

평가 결과

정보부족  

참고문헌

송환준. 2004. 남해도 금산의 초본 자생식물 연구. 경상대학교 농학석사학위 논문.
신현철(외). 2011. 멸종위기야생동식물 지정, 관리 기준 마련 및 적색목록집 발간 최종보고서. 부록. 법정보호종(해제후보종 포함), 해제종, 그리고 지정후보종 종명세서. 국립생물자원관.  

영문초록

Metanarthecium luteo-viride was known to occur in Gyeonggi-do and Gyeongsangnam-do. The natural population in Gyeonggi-do, however, disappeared, and about 30 plants were reintroduced recently. A population in Gyeongsangnam-do comprises about 350 individuals.  

칠보치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