칡부엉이

Asio otus (Linnaeus, 1758)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조류
  • 영명 : Long-eared Owl
  • 분류체계
    • - 올빼미목(Strigiformes) 올빼미과(strigidae)
  • KTSN : 자료없음
  • 적색 분류 : 관심대상(LC)
  • IUCN범주 : 관심대상(LC) 평가방법 보기
  • 지정 현황
    • - 천연기념물 제324-5호

요약

칡부엉이는 귀깃이 길며, 눈은 주황색이다. 배에는 가로줄이 섞인 굵은 세로 줄무늬가 있다.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드물게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산림훼손 등으로 인해 서식지가 축소되고 있으며, 먹이 활동을 하는 농경지와 개활 초지, 산림의 임연부 등이 훼손되어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 IUCN 분류군 위협 범위 평가 기준 및 국내 서식현황 적용 결과 관심대상종(LC)으로 평가했다.  

형태

귀깃이 길며, 눈은 주황색이다. 배에는 가로줄이 섞인 굵은 세로 줄무늬가 있다. 깃털색의 변화가 비교적 심하다. 꼬리는 연한 갈색이며 끝 부분에 얇고 진한 갈색 줄무늬가 있다(이 등 2000).  

생물학적 특성

번식기는 5월 중순에서 하순이며 둥지는 잡목 숲속에 있는 매나 말똥가리 등의 옛 둥지를 이용한다. 한배 산란 수는 4-6개이며, 알은 흰색이다. 포란기간은 26-28일이며, 육추기간은 23-24일이다. 포란은 암컷이 하며, 수컷은 암컷에게 먹이를 운반한다. 주로 들쥐를 먹으며, 작은 들새, 곤충도 먹는다(문화재청 2009).  

분포 현황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드물게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번식 현황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 지역에서 번식하며, 우리나라에는 번식사례가 없다.  

서식지 동향

주로 전국의 소나무 숲에서 여러 개체를 관찰할 수 있으며, 낮에는 거의 활동하지 않으며, 밤에 활발히 활동한다. 초지, 습지, 과수원 등을 둘러싸고 있는 작은 숲과 잡목림이 있는 지역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문화재청 2009).  

개체수 현황

우리나라에는 드문 겨울철새로서 1999년과 2000년도에 충청남도 서산 간월호 지역에서 5개체, 3개체가 관찰된 기록이 있으며, 2005년도에 낙동강 하구에서 3개체, 전라남도 신안군 홍도 지역에서 1개체가 관찰된 기록이 있다. 또한 과거 1980년대 초까지만 하더라도 경희대 교내의 소나무 숲에 매년 규칙적으로 20-30개체가 도래해 월동한 기록이 있다. 야행성 조류여서 정확한 개체수 산정은 어려우며, 우리나라에는 아주 드물게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문화재청 2009; 환경부 1999-2010; 환경부 2000-2006).  

분류학적 특성

정보부족  

국제 동향

유라시아대륙의 온대지역, 북아메리카 등 신북구와 구북구에 넓게 분포하며, 전 세계 번식 개체수는 380,000-810,000쌍, 개체수는 1,140,000-2,430,000로 추정하고 있다(del Hoyo et al. 1999; IUCN 2010).  

위협 요인

최근 산림훼손 등으로 인해 서식지가 축소되고 있으며, 먹이 활동을 하는 농경지와 개활 초지, 산림의 임연부 등이 훼손되어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IUCN 2010).  

특기 사항

문화재청 천연기념물 제324-5호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평가 결과

LC IUCN 분류군 위협 범위 평가 기준 및 국내 서식현황 적용 결과 관심대상종(LC)으로 평가했다.  

참고문헌

del Hoyo, J., A. Elliott and J. Sargatal. eds. 1999.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 5. Lynx Edicions, Barcelona. pp.238-241.
IUCN. 2010.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www.iucnredlist.org
이우신, 구태회, 박진영. 2000. 야외원색도감 한국의 새. LG상록재단. pp.180-181.
문화재청. 2009. 문화재대관 천연기념물?명승-동물. 문화재청. pp.134-135.
환경부. 1999-2010.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국립생물자원관.  

영문초록

Asio otus is a species of owl which breeds in Europe, Asia, and North America. This species is a part of the larger grouping of owls known as typical owls, family Strigidae, which contains most species of owl. The other grouping of owls are the barn owls, family Tytonidae. This species has an extremely large range, and hence does not approach the thresholds for Vulnerable under the range size criterion. The population trend appears to be stable, and hence the species does not approach the thresholds for Vulnerable under the population trend criterion. The global population size has not been quantified, but the species is reported to be very abundant regionally. It meets the criteria for LC.  
집필자 : 백운기(국립중앙과학관), 조해진(한국환경생태연구소)

칡부엉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