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낙새

Dryocopus javensis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조류
  • 영명 : Tristram's Woodpecker
  • 분류학적 위치
  • KTSN : 120000001915
  • 적색 분류 : 지역절멸(RE)
  • IUCN범주 : 관심대상(LC) 평가방법 보기
  • 지정 현황
    • -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Ⅰ급, 천연기념물 제197호

요약

경기도 광릉에서 번식기록이 있으며, 고지대 산림에 제한적으로 서식한 기록이 있는 희귀조류다. 분포역이 제한되어 있는 아종으로 1981년 이후에는 관찰기록이 없어 우리나라에서는 지역멸절(RE)로 평가했다.  

형태

몸길이는 46cm이고, 수컷은 이마, 머리꼭대기, 뒷머리가 진한 붉은색이며, 뺨 선은 어두운 붉은색이다. 암컷과 수컷의 아래 등, 허리, 위꼬리덮깃, 가슴, 윗배는 흰색이며, 그 밖에는 모두 검은색이다. 부리는 검은색이며, 다리는 검은색을 띤 회색이다(원 1971, 1996; 이 등 2000).  

생물학적 특성

전나무, 잣나무, 소나무, 참나무, 밤나무 등의 활엽수와 침엽수가 함께 자라는 숲 속에 서식한다. 주로 이른 아침과 저녁에 활동하지만 흐린 날이나 비가 올 때는 낮에도 활동한다. 나무줄기를 나선형으로 기어 올라가 주위의 나무로 옮겨간다. 나무껍질을 벗기고 구멍을 파서 큰 딱정벌레 애벌레를 잡아먹는다. 민첩해 접근이 어렵다. 둥지는 참나무, 전나무, 소나무 등의 나무 구멍을 이용하거나, 직접 구멍을 만든다. 알 낳는 시기는 5-6월이다. 알은 흰색이며, 2-5개 낳아 14일 동안 품는다(원 1971, 1996; 함 1982; 이 등 2000).  

분포 현황

경기도 광릉, 양평, 군포, 수원, 충청남도 천안, 전라북도, 부산시 부근 등 여러 지역에서 많이 서식한 바 있다(원 1971, 1996; 함 1982; 이 등 2000).  

번식 현황

크낙새의 번식이 확인된 장소는 경기도 광릉이 유일하며, 1974년 번식에 대한 조사가 최초로 이루어진 이래 1쌍이 해마다 장소를 바꾸어 가면서 둥지를 새로 만들어 번식했다. 확인된 번식실태는 1974년 1쌍, 1979년 수컷 2개체와 암컷 1개체였으며, 1981년 1쌍이 둥지를 떠난 이후 1989년 여름부터는 크낙새에 대한 확인 자료가 없다(원 1971; 함 1982).  

서식지 동향

수령이 100-300년 된 고목이나 반고사목이 있는 산림이 잘 발달된 지역에 서식한다. 경기도 광릉을 비롯해 수원, 부산시 등 여러 지역에 서식했으나 1989년 여름부터 크낙새에 대한 관찰 정보가 없다(원 1971; 함 1982; 문화재청 2009).  

개체수 현황

1950년대에는 경기도 광릉과 충청북도 속리산에서 관찰되었으나, 1960년대에는 속리산에 서식하던 크낙새는 자취를 감추었고, 경기도 광릉과 강원도 설악산에서만 관찰되었다. 설악산에서는 1966년 5월에 1개체가 관찰된 바 있다. 경기도 광릉에서는 1974년 7월 4개체, 1976년 12월 5개체, 1977년 2월 2개체, 12월 2개체 등을 관찰한 기록이 있다(함 1982; 윤과 장 1994; 문화재청 2006, 2007).  

분류학적 특성

정보부족  

국제 동향

크낙새는 동아시아에 국한되어 분포하며, 그 중 일본의 쓰시마 섬에 서식하던 개체군은 절멸되었고(원 1981), 한국에만 분포하는 개체군은 1989년 이후 개체를 추정할 수 없을 정도로 관찰되지 않고 있다(IUCN 2010). 북한지역에는 개성 일대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정확한 자료는 없다.  

위협 요인

울창한 산림에 서식하는 습성이 있어 산림의 파괴와 같은 서식지 상실과 함께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며, 제한 된 지역에서 적은 수만 서식하는 종의 포획 압력이 증가한 것도 감소의 요인으로 추정된다(윤과 장 1994; 문화 재청 2009).  

특기 사항

환경부 멸종위기Ⅰ급, 문화재청 천연기념물 제197호로 지정·보호하고 있으나 현재는 자취를 감추고 확인되지 않고 있다. 과거 크낙새의 서식지로 알려진 경기도 남양주시 진전읍 부평리 일원은 1962년 천연기념물 제11호로 지정된 바 있다(문화재청 2007).  

평가 결과

RE 경기도 광릉에서 번식기록이 있는 종으로 1981년 마지막 번식 쌍이 이소하고 1989년 이후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관찰기록이 없다. 분포역이 매우 한정된 종이나 지속적인 관찰이 이루어지지 않아 IUCN 적색목록 분류기준에 의해 지역절멸종(RE)로 평가했다. IUCN에서는 크낙새 아종 단위로는 평가하지 않았다.  

참고문헌

IUCN. 2010.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www.iucnredlist.org
문화재청 천연기념물과. 2009. 천연기념물?명승-동물. pp.62.
문화재청. 2006. 2006년 천연기념물 모니터링. 문화재청. 124pp.
문화재청. 2007. 중장기 천연기념물(동물) 분포파악을 위한 조사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천연기념물센터. 182pp.
원병오. 1971. 천연기념물로 된 새들. 새가정사. pp.25-29.
원병오. 1981. 한국동식물도감-제25권 동물편(조류생태). 문교부. 1,126pp.
원병오. 1996. 한국의 조류. 교학사. 453pp.
조류 _ 25
윤여창, 장호찬. 1994. 광릉 크낙새의 보존가치 평가. 한국환경경제학회지. pp.87-105
이우신, 구태회, 박진영. 2000. 야외원색도감 한국의 새. LG상록재단. 320pp.
함규황. 1982. 크낙새 생태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영문초록

Dryocopus javensis richardsi inhabits dense mountain forests. It is commonly found in areas with chestnuts, oaks, poplars, and elms. It prefers dead trees, where it nests in the hollow trunk and searches the bark for insects. In Korea, it breeds for the first in Gwangneung, in 1974. But since 1989, it didn't find. The global population size has not been quantified, but the species is reported to be local and uncommon throughout its range. It meets the criteria for RE.  
집필자 : 백운기(국립중앙과학관), 송민정(한국환경생태연구소)

크낙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