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가시고기

Gasterosteus aculeatus (Linnaeus, 1758)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 적색 목록집 권호 : 어류
  • 영명 : Three spined stickleback
  • 분류체계
    • - 큰가시고기목(Gasterosteiformes) 큰가시고기과(Gasterosteidae)
  • KTSN : 자료없음
  • 적색 분류 : 준위협(NT)
  • IUCN범주 : 자료없음

요약

동해와 남해로 흐르는 하천의 최하류 지역에 서식하며, 기수역 바로 상류의 담수역에서 주로 출현한다. 최근 수질오염, 하천개수공사 등으로 서식지가 급격히 감소했다.  

형태

체장은 10-13cm이며, 체형은 매우 납작하고 미병부는 가늘다. 등지느러미 기조수 15-17개, 뒷지느러미 기조수 10-13개, 새파수 23-26개 및 척추골수 31-33개다. 아래턱은 위턱보다 약간 길다. 등쪽에는 날카로운 가시가 3개 있고 배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에도 1개씩 있다. 골질의 인판이 아가미덮개 뒤에서부터 꼬리 끝까지 1열로 배열되어 있다. 미병부의 인판은 골질돌기가 발달되어 있다. 꼬리지느러미의 뒤끝은 직선이다. 몸은 연갈색을 띠며 복부는 은색이나 연한 황금색을 띤다. 산란기가 되면 수컷은 몸 전체가 짙은 청색을 띠고 머리, 복부 등 몸의 아래쪽은 붉은색을 띤다(김 1997).  

생물학적 특성

하천 하류의 유속이 매우 느리거나 정체된 곳에 주로 산다. 산란기는 3-5월로 수컷이 바닥에 둥지를 만든 후 암컷을 유인해 산란시키고 부화할 때까지 보호한다. 부화한 자어들이 둥지를 떠나면 수컷은 혼인색이 퇴색되고 산란장 주변에서 죽는다. 부화한 자어는 체장이 5-6mm이며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는다. 산란기가 끝날 즈음 20mm 정도로 성장한 자어들은 바다로 내려간다. 이들은 연안의 바다에서 집단을 이루어 생활하다가 1-2년 후 초봄에 다시 하천으로 올라와 산란한다.  

분포 현황

전국에 널리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현재 남해와 동해로 흐르는 하천에 주로 분포한다(환경부 1997-2009).  

번식 현황

하천 하류의 바닥이 모래로 이루어진 곳에서 산란한다. 수컷이 둥지를 만들고 여러 마리의 암컷을 유인해 산란시키고 부화할 때까지 알을 보호한다.  

서식지 동향

겨울에는 연안에서 살다가 초봄에 산란을 위해 하천으로 올라온다. 주로 하천 하류의 흐름이 거의 정체된 곳에서 서식한다.  

개체수 현황

전국자연환경조사(환경부 1997-2005) 결과 50개체, 경주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국립공원관리공단 2008) 결과 73개체가 확인되었을 뿐 개체수가 매우 적었다.  

분류학적 특성

정보부족  

국제 동향

북극해를 중심으로 흐르는 대부분의 하천에 분포하며, 태평양에는 극동아시아와 북아메리카 연안까지 광범위하게 서식하고 있다.  

위협 요인

무분별한 하천개수공사, 수량 감소 및 수질오염으로 인해 서식지가 파괴되어 감소하고 있다.  

특기 사항

정보부족  

평가 결과

NT 동해와 남해로 흐르는 하천의 하구역에 널리 분포했으나, 현재는 11개 지점에서만 출현해 서식지 조각화가 심하다.  

참고문헌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37권 동물편(담수어류). 교육부.
환경부. 1997-2005.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 보고서.  

영문초록

The three spined stickleback Gasterosteus aculeatus is a small gasterosteid fish and distributed in rivers and streams flowing into the eastern and southern coasts of Korea. This species is found near the river mouth and at bottom covered with sand. However, recent anthropogenic activities such as channel improvement, water pollution and drying up of streams have resulted in decline of its natural habitats.  
집필자 : 채병수(국립공원연구원)

큰가시고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