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기러기

Anser fabalis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조류
  • 영명 : Bean Goose
  • 분류학적 위치
  • KTSN : 120000001414
  • 적색 분류 : 관심대상(LC)
  • IUCN범주 : 관심대상(LC) 평가방법 보기
  • 지정 현황
    • -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Ⅱ급

요약

전국의 호소, 간척지, 하구 등 우리나라 전역에 도래하는 겨울철새다. 1999년부터 2010년까지 겨울철새 동시센서스를 통해 평균 30,000개체 이상이 지속적으로 도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2005년에 최대 86,116개체가 관찰되는 등 많은 수가 월동하고 있어 관심대상종(LC)로 평가했다.  

형태

암수의 깃털 색이 서로 비슷하다. 몸 전체가 회갈색이며, 등을 비롯한 위쪽이 진하다. 부리는 검은색이나 끝에는 황색 띠가 있다. 날개 끝과 꽁지는 검은색이고, 꽁지깃의 가장자리에는 흰색 띠가 있다. 위아래꼬리덮깃은 흰색이며, 다리는 주황색을 띠고 있다(원 1981; 이 등 2000).  

생물학적 특성

유라시아대륙 및 아시아 북쪽의 건조하고 약간 움푹 들어간 풀밭에 둥지를 만들며, 무리를 지어 번식한다. 겨울에는 남쪽의 온대지역으로 이동한다. 번식지에서는 각종 식물의 열매나 줄기 그리고 작은 동물을 먹지만 겨울에는 주로 논에 떨어진 벼 이삭이나 물풀과 풀뿌리 등을 먹는다. 우리나라에는 10월 초에 찾아와 이듬해 2월 말 또는 3월 초까지 겨울을 보낸다. 이동할 때는 줄지어 나는 것이 특징이다(원 1981; 이 등 2000).  

분포 현황

우리나라의 철원평야, 시화호, 천수만, 금강 하구, 영암호, 고천암호, 주남저수지, 낙동강 하구 등 주요 철새도래지에 분포한다.  

번식 현황

우리나라에서는 번식하지 않는 겨울철새다.  

서식지 동향

우리나라의 넓은 농경지가 있는 평야지대, 호소, 강, 하구, 간척지, 대규모 저수지 등에 서식한다.  

개체수 현황

월동 개체군의 경우 지난 10년간 점차 증가했다. 1999년 34,399개체, 2000년 33,033개체, 2001년 19,144개체, 2002년 31,826개체, 2003년 30,828개체, 2004년 37,996개체, 2005년 86,116개체, 2006년 66,603개체, 2007년 68,233개체, 2008년 55,328개체, 2009년 74,761개체, 2010년 51,516개체를 관찰한 기록이 있다(환경부 1999-2010).  

분류학적 특성

정보부족  

국제 동향

국제적으로 아직까지는 폭 넓게 분포하며, 네덜란드의 경우 겨울 개체수가 100,000-200,000으로 기록되었다. 우리나라에 도래하는 종은 최대 86,000여 개체로 기록되었으며, 전반적으로 개체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Wetlands International 2002; IUCN 2010).  

위협 요인

러시아 동부 및 사할린 등에서의 사냥과 우리나라에서의 독극물을 사용한 밀렵과 월동기 동안 먹이의 부족 등이 위협 요인이다.  

특기 사항

환경부 멸종위기 Ⅱ급으로 지정·보호하고 있으며, 과거에 비해 그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서식지에 대한 지속적인 보호가 필요하다.  

평가 결과

LC 겨울철 우리나라 전역에 폭 넓게 분포하며, 최근 10년간 평균 30,000개체 이상이 지속적으로 관찰되고 있어 IUCN 적색목록 분류 기준에 의해 우리나라에서는 관심대상종(LC)으로 평가했다. IUCN 적색목록에도 관심대상종(LC)으로 평가되어 있었다.  

참고문헌

IUCN. 2010.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www.iucnredlist.org
Wetlands International. 2002. Waterbird Population Estimates-Third Edition. Wetlands International Global Series No. 12, Wageningen, The Netherlands. pp.71.
원병오. 1981. 한국동식물도감-제25권 동물편(조류생태). 문교부. 1,126pp.
이우신, 구태회, 박진영. 2000. 야외원색도감 한국의 새. LG상록재단. pp.70.
환경부. 1999-2010.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국립생물자원관.  

영문초록

Anser fabalis is wintering bird in Korea. The population size is extremely large, and hence does not approach the thresholds for Vulnerable under the population size criterion. Winter counts indicate 100,000-200,000 birds in Netherlands. During 10 years, it's population has been increasing or to maintain above 30,000 in Korea. Recently, in winter 2010 census, 51,516 birds counted in Korea. It meets the criteria for LC.  
집필자 : 김창회(국립환경과학원), 이한수(한국환경생태연구소)

큰기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