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꺅도요

Gallinago hardwickii (J. E. Gray, 1831)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조류
  • 영명 : Latham's Snipe
  • 분류체계
    • - 도요목(Charadriiformes) 도요과(Scolopacidae)
  • KTSN : 자료없음
  • 적색 분류 : 관심대상(LC)
  • IUCN범주 : 관심대상(LC) 평가방법 보기

요약

드문 통과 철새로 관찰이 어렵고 동정하기 어려운면도 있어 관찰기록이 많지 않다. 농경지, 목초지, 소택지 등 키 작은 풀이 있는 지역에서 번식한다. 국제적으로 36,000개체가 있는 것으로 추정하며, 일본의 번식개체는 27,900개체로 판단된다. 우리나라에서는 관심대상종(LC)으로 평가했다.  

형태

등에는 세로로 노란 빛이 도는 어두운 갈색 줄과 무늬가 있다. 목과 윗가슴은 붉은 빛이 도는 갈색이다. 옆구리에는 꺅도요와 달리 가로무늬가 없다. 부리 기부는 노란빛이 도는 녹색이고, 끝 부분은 어두운 갈색이다. 다리는 노란 빛이 도는 어두운 녹색이다.  

생물학적 특성

산악의 풀숲에서 번식한다. 4월 말-6월까지 알을 낳는다. 지상의 식물이 모여 나는 곳에 홈을 파고 둥지를 틀며, 나뭇잎과 마른 풀을 깔아놓는다. 알을 4개 낳으며, 노란빛 도는 갈색 바탕에 어두운 붉은색 점무늬가 섞여 있다.  

분포 현황

우리나라의 제주도, 어청도, 흑산도 등 남해안 도서지역 일대와 강릉에서 관찰기록이 있다.  

번식 현황

번식기에 강원도 강릉비행장에서 꾸준히 관찰되어 번식하는 것으로 추정되나 조사된 자료가 없다. 국제적으로는 동 프리모스키, 남 사할린, 쿠릴열도, 홋카이도 등의 농경지, 목초지, 소택지 등 키 작은 풀이 있는 지역에서 번식한다.  

서식지 동향

논, 연못, 습지, 강가에서 관찰되며, 남해안을 중심으로 규칙적으로 소수의 개체가 통과할 것으로 추정된다.  

개체수 현황

1988년 강릉에서 2개체, 1996년 주남저수지에서 2개체, 1999년 제주도에서 1개체, 2000년 광양만에서 1개체, 2001년 신안군 가거도에서 1개체, 2006년, 2007년, 2009년 홍도와 흑산도에서 관찰기록이 있다.  

분류학적 특성

정보부족  

국제 동향

동 프리모스키, 남 사할린, 쿠릴열도, 홋카이도에서 번식하고 겨울에는 오스트레일리아, 타스마니아, 뉴기니아 등지에 분포한다. 국제적으로 36,000개체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하며, 일본에서는 27,900개체로 추정된다.  

위협 요인

번식지와 월동지에서의 사냥이 큰 위협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기 사항

관찰과 동정이 어려워 기타 유사종과의 혼동할 가능성이 높으며, 분포권, 도래실태, 동정 등에 대한 재조명이 필요하다.  

평가 결과

LC IUCN 분류군 위협 범위 평가 기준 및 국내 서식현황 적용 결과 관심대상종(LC)으로 평가했다.  

참고문헌

IUCN. 2010.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www.iucnredlist.org
del Hoyo, J., A. Elliott and J. Sargatal. eds. 1996.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 3. Lynx Edicions, Barcelona. 821pp.
국립공원관리공단. 2006-2010. 조류조사?연구결과보고서. 국립공원연구원 철새연구센터.
박진영. 2002. 한국의 조류 현황과 분포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원병오. 1981. 한국동식물도감-제25권 동물편(조류생태). 문교부. 1,126pp.
이우신, 구태회, 박진영. 2000. 야외원색도감 한국의 새. LG상록재단. 320pp.
환경부. 2006-2008. 전국자연환경조사.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영문초록

Gallinago hardwickii is known migratory in Korea. Breeding habitat consists of farmland, such as meadows, pastures, fallow fields, and areas of firing and reafforestation, from coast up to 1400m. Food was mainly earthworms, also beetles, cranefly larvae and pupae, spiders and freshly fallen seeds. Strongly migratory. Not globally threatened. Currently considered near-threatened. International population size estimated about 36,000 individuals. Estimated 27,900 birds breed on Japan. It meets the criteria for LC.  
집필자 : 김진한(국립생물자원관), 강태한(한국환경생태연구소)

큰꺅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