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덤불해오라기

Ixobrychus eurhythmus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조류
  • 영명 : Schrenck's Bittern
  • 분류학적 위치
  • KTSN : 120000001525
  • 적색 분류 : 취약(VU)
  • IUCN범주 : 관심대상(LC) 평가방법 보기
  • 지정 현황
    • -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Ⅱ급

요약

여름철새이며, 경기도와 충청남도, 전라남도 등지의 대규모 습지에 서식한다. 현재에는 일부 습지지역을 제외하고 거의 관찰하기 어려워져 분포역 및 개체수와 개체군수가 모두 감소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취약종(VU)으로 평가했다.  

형태

수컷은 이마에서 어깨까지 어두운 밤색이다. 암컷의 이마와 머리꼭대기는 수컷과 같으나 등과 어깨는 어두운 밤색에 작고 둥근 흰색 무늬가 흩어져 있다. 허리와 위꼬리덮깃은 엷은 밤갈색이다. 귀깃, 목의 옆과 뒤는 진하고 붉은 밤색이다. 턱밑과 턱 아래 부위의 양 옆은 크림 빛이 도는 흰색이다. 턱 아래 부위의 중앙부터 앞목, 가슴, 배 사이는 황갈색이며 가슴 옆과 옆구리는 갈색이 돌고, 턱밑부터 가슴까지 어두운 갈색 세로줄이 1개 있다(원 1981; 이 등 2000).  

생물학적 특성

갈대밭, 작은 물웅덩이, 풀이 우거진 습지 등에서 생활한다. 물가의 갈대 줄기 위 또는 풀이 무성한 땅 위에 풀잎과 줄기를 이용해 둥지를 만들고 5-7월에 알 5-6개를 낳는다(원 1981; 이 등 2000).  

분포 현황

우리나라 시화호, 천수만, 무안, 해남, 홍도 등지에서 관찰기록이 있다.  

번식 현황

현재까지 번식에 관해 알려진 바가 없으나 번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서식지 동향

우리나라에서는 경기도의 시화호, 충청남도의 천수만, 전라남도의 해남과 무안 등 대규모 간척지 및 습지에 서식한다.  

개체수 현황

2000년 천수만에서 최대 62개체, 신안 하태도에서 1개체, 가거도에서 1개체를 관찰한 기록이 있으며, 2007년 천수만에서 1개체, 2008년 연천에서 1개체를 관찰한 기록이 있다. 시화호, 천수만, 해남간척지, 주남저수지 등 우리나라 주요 철새도래지에서 관찰기록이 있다. 전국적으로 통과시기에 더 빈번하게 관찰되며,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므로 문헌기록보다 더 많은 개체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환경부 2007-2009; 국립공원관리공단 2007).  

분류학적 특성

정보부족  

국제 동향

동아시아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개체수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적다(Wetlands International 2002).  

위협 요인

주로 습지에 서식하는 종으로 습지의 개발 및 인간의 접근에 따른 서식지 감소가 위협 요인이다.  

특기 사항

환경부 멸종위기 Ⅱ급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평가 결과

VU A1c; D(1) 현재에는 일부 습지지역을 제외하고 거의 관찰하기 어려워져 분포역 및 개체수와 개체군수가 모두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IUCN 적색목록 기준에 따라 취약종(VU) A1c; D(1)으로 평가했다.  

참고문헌

IUCN. 2010.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www.iucnredlist.org
del Hoyo, J., A. Elliott and J. Sargatal. eds. 1992.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 1. Lynx Edicions, Barcelona. 696pp.
Wetlands International. 2002. Waterbird Population Estimates-Third Edition. Wetlands International Global Series No. 12, Wageningen, The Netherlands. pp.52.
국립공원관리공단. 2007. 2007조류조사?연구결과보고서. 국립공원연구원 철새연구센터.
원병오. 1981. 한국동식물도감-제25권 동물편(조류생태). 문교부. 1,126pp.
이우신, 구태회, 박진영. 2000. 야외원색도감 한국의 새. LG상록재단. 320pp.
환경부. 2007-2008. 전국자연환경조사.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영문초록

Ixobrychus eurhythmus is summer visitor in Korea. Habitat is marshes with reedbeds, wet, grassy meadows, swamps in flat, open areas of river. Food is small fish, frogs, shrimps. Migration towards winter quarters starts in Aug, with main passage through Hong Kong, Malay Peninsula and returns to Thailand. International population size is about 25,000. It meets the criteria for VU A1c; D(1).  
집필자 : 이기섭(한국물새네트워크), 신용운(한국환경생태연구소)

큰덤불해오라기
큰덤불해오라기
최순규
큰덤불해오라기
최순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