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볏말뚝망둑어

Periophthalmus magnuspinnatus Lee, Choi & Ryu, 1995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 적색 목록집 권호 : 어류
  • 영명 : Mud hopper
  • 분류체계
    • - 농어목(Perciformes) 망둑어과(Gobiidae)
  • KTSN : 자료없음
  • 적색 분류 : 관심대상(LC)
  • IUCN범주 : 자료없음

요약

고유종으로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강 하구와 인접된 연안에 서식하는 저서성 소형 어류다. 강 하구나 연안의 개펄 바닥에 서식한다. 대규모 간척사업으로 개체군의 크기가 현저하게 줄어들고 있다.  

형태

체장은 9cm 내외이며, 체형은 길고 뒤쪽으로 갈수록 좌우로 측편된다. 제1등지느러미 기조수 11-13개, 제2등지느러미 기조수 12-14개 및 뒷지느러미 기조수 12-13개다. 머리는 크고, 주둥이는 둥글다. 눈은 두정부에 있으며 양안 간격은 좁다. 꼬리지느러미 후연은 둥글며 뺨을 제외한 몸 전체는 원린으로 덮여있다. 몸에는 검은색 작은 반점이 뺨에는 흰색 반점이 흩어져있다. 제1등지느러미는 전반적으로 연한 흑색이지만 가장 바깥쪽의 가장자리는 백색이고 그 안쪽의 가장자리는 짙은 흑색을 띤다. 제2등지느러미는 전반적으로 연한 흑색이며 중앙부에는 흑색 줄무늬가 있다(Lee et al. 1995, 김 1997, 김과 박 2007).  

생물학적 특성

짱뚱어나 말뚝망둑어처럼 강 하구, 내만, 기수역, 연안 갯벌 등에 구멍을 파고 생활한다. 가슴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를 이용해 이동하며 뛰어오르기도 하고 높은 곳을 오르기도 한다. 만조 때는 물가로 나오기도 한다. 산란기는 5-8월로 개펄 구멍에 알을 낳으며 수컷은 수정된 알을 지킨다. 겨울에는 개펄의 구멍에서 지내며 짱뚱어와 말뚝망둑어와 함께 물 밖에서도 생존하는 수륙양서어류이다(이와 노 2006). 말뚝망둑어와 거의 동일한 서식지를 가지지만 미세서식지가 달라 생태적으로 분리되는 것으로 추정된다(김 1997).  

분포 현황

고유종으로 전라남도 승주군을 포함한 남해안과 서해안으로 흐르는 승주, 당진, 서산, 서천, 강화, 김제, 고창, 영월, 무안, 영암, 신안, 진도, 순천 지역의 강 하구와 인접한 연안에서 출현한다(김 1997, 환경부 1997-2009).  

번식 현황

정보부족  

서식지 동향

서식지는 강의 하구와 조간대의 갯벌이며, 하상이 갯벌인 조간대에서 구멍을 뚫고 생활하지만, 분포지역의 모든 하구지역이 개발되어 점차 서식지가 축소되고 훼손되어 있다.  

개체수 현황

정보부족  

분류학적 특성

정보부족  

국제 동향

정보부족  

위협 요인

강 하구와 조간대 갯벌 지역이 하구둑 건설, 대규모 간척사업, 생활하수, 공장폐수, 축산폐수 등으로 인한 수질오염 등으로 서식지가 파괴되어 감소하고 있다.  

특기 사항

정보부족  

평가 결과

LC 남해와 서해의 하구 및 조간대 지역에 서식하고 있으나, 대규모 간척사업으로 개체군의 크기가 현저하게 줄어들고 있다.  

참고문헌

Lee, Y.J., Choi, Y. and Ryu, B.S. 1995. A taxonomic revision of the genus Periophthalmus (Pisces: Gobiidae) from Korea with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7: 120-127.
김익수, 박종영. 2007.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37권 동물편(담수어류). 교육부.
이완옥, 노세윤. 2006. 특징으로 보는 한반도 민물고기. 지성사.
환경부. 1997-2009. 전국자연환경조사. 담수어류.  

영문초록

The mud hopper, Periophthalmus magnuspinnatus endemic to Korea is a small, benthic gobiid fish and distributed in the southern and western coasts of Korea. This species often inhabits the mud flat of the coastal waters and estuary of large rivers. However, recent extensive reclamation development projects have resulted in decline of its natural habitats.  
집필자 : 이완옥(중앙내수면연구소)

큰볏말뚝망둥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