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범

Panthera pardus orientalis
검색결과로 돌아가기
서식지 지도
  • 적색 목록집 권호 : 포유류
  • 영명 : Amur Leopard
  • 분류학적 위치
  • KTSN : 120000213633
  • 적색 분류 : 지역절멸(RE)
  • IUCN범주 : 위급(CR) 평가방법 보기

요약

대형 고양이과 포유류로 과거 기록은 있으나 현재 남한에서는 절멸된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

대형 고양이과 동물로 성체의 경우 머리와 몸통의 길이 1,060-1,800㎜, 꼬리의 길이 700-1,000㎜, 뒷다리의 길이 200-320㎜, 귀의 길이 70-120㎜이다. 머리는 크고 둥글며 수염은 짧다. 귓바퀴는 둥글고 짧으며, 목은 짧다. 털의 색깔은 황색 또는 황적색으로 몸체, 사지 및 꼬리에 검은 점무늬가 산재해 있다. 허리 부분과 몸옆면의 무늬에는 중앙에 엷은 황갈색 털이 나 있어 엽전처럼 보인다.  

생물학적 특성

고산지대의 산림 속에서 살며 해 진 뒤나 새벽에 활동한다. 교미 시기는 겨울 또는 봄이며, 교미 후 약 100일뒤에 새끼 1-5마리를 낳는다. 성적으로 성숙하는 시기는 태어난 지 2-3년이 지난 후이며, 수명은 12년 정도이다.  

분포 현황

전국(경기도 광릉, 지리산, 설악산, 오대산, 전남 천태산, 묘향산)에서 서식했던 기록이 있으나(원병휘, 1967; 원홍구, 1968), 남한에서는 절멸된 것으로 추정된다.  

번식 현황

정보부족  

서식지 동향

임도건설로 인한 서식지 간섭 증가 및 도로건설에 의한 서식지 단편화 현상 증가 등의 영향으로 서식지가 파괴되고 있다.  

개체수 현황

개체수 현황을 파악할만한 자료가 없다.  

분류학적 특성

전 세계적으로 아홉 아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이중 한반도에 서식하는 표범은 Panthera pardus orientalis이다.  

국제 동향

정보부족  

위협 요인 및 보호대책

문헌에 기록된 분포 지역을 대상으로 정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향후 종의 복원 계획에 필요한 유전자원 확보가 시급하다.  

특기 사항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동물 I급(2012년) 동물로 지정되어 있다. 1989년 한국자연환경보전협회에서 지정한 위기종으로 선정되었으며, 2001년에는 위급종으로 지정되었다. 현재 동물원에서도 우리나라 원종이 사육되고 있지 않아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평가 결과

RE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했으나, 모피에 대한 수요 및 서식지 파괴에 따라 개체수가 급감했다. 중국에서도 위급으로 평가했고, 전 세계적으로 20여 개체 미만이며, 한반도에서는 절멸했다는 보고도 있다.  

참고문헌

원병휘. 1967.「한국동식물도감」제7권 동물편(포유류). 문교부.
원홍구. 1968. 조선짐승류지. 과학원출판사.
Henschel, P., L. Hunter, U. Breitenmoser, N. Purchase, C. Packer, I. Khorozyan, H. Bauer, L. Marker, E. Sogbohossou and C. Breitenmoser-Wursten. 2008. Panthera pardus . In: IUCN 2011.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1.2.
Uphyrkina, O., Johnson, W. E., Quigley, H. B., Miquelle, D. G., Marker, L., Bush, M. E. and O'Brien, S. J. 2001. Phylogenetics, genome diversity and origin of modern leopard, Panthera pardus . Molecular Ecology 10: 2617.
Won, C. 1996. Mammals of Korea: Current status and zoogeography. Ph.D dissertation of University of Arkansas.  

영문초록

Panthera pardus was distributed through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recently, several findings were reported near DMZ and Mt. Baekdu.  
집필자 : 오홍식(제주대학교)

표범